•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54.5% “낮은 연봉 탓에 회사부심 못 느껴”

 

직장인의 절반 이상은 ‘낮은 연봉’ 때문에 소위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한 채 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잡코리아는 지난달 9일부터 16일까지 직장인 970명을 대상으로 ‘회사에 대한 자부심(이하 회사부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54.4%는 평소 회사부심 없이 일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38.9%는 ‘별로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했고, 15.6%는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 ‘어느 정도 느낀다(39.4%)’, ‘매우 느낀다(6.2%)’ 등 회사부심을 느낀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은 45.6%로 집계됐다.

 

‘어느 정도’, ‘매우’ 등 회사부심을 느낀다는 응답자들의 재직 기업을 형태별로 분류하면 ▲공기업 62.0% ▲대기업 59.4% ▲외국계 기업 55.0% 순으로 높은 반면, ▲중소기업 재직자는 40.6%였다.

 

또한 재직 기업 형태에 따라서 회사부심(복수응답)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회사부심이 가장 높았던 공기업 직장인들은 ‘워라벨(일과 생활의 균형)이 보장되는 근무환경(68.2%)’을 압도적 1위로 꼽은 가운데, ‘내가 하는 일, 우리 회사의 사업이 의미 있는 일이라는 보람(47.7%)’이 2위에 올랐다.

 

대기업 직장인들은 ‘높은 연봉수준(35.3%)’과 ‘일에서 얻는 보람(32.9%)’을 나란히 1, 2위로 꼽았고, 외국계 기업은 ‘만족스러운 수준의 복리 후생(59.1%)’, 중소기업은 ‘일의 보람(52.6%)’을 각각 회사부심을 갖는 이유로 선택했다.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복수응답)는 대동소이했다. 대기업을 제외한 모든 응답군에서 ‘낮은 연봉수준(49.6%)’을 1위에 꼽는 등 연봉수준이 회사부심을 느끼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직장인들은 ‘워라벨이 없는 근무환경(41.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만족스럽지 못한 복리후생(38.1%)’이 2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조직문화(21.8%)’, ‘내가 하는 일, 우리 회사의 사업이 의미가 없는 일처럼 느껴져서(19.3%)’, ‘자기계발을 할 수 없는 근무환경(17.4%)’, ‘낮은 고용안정성(15.3%)’ 등도 회사부심을 느낄 수 없는 이유였다.

 

한편, ‘회사에서 자신의 역량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회사부심이 높은 응답군일수록 ‘역량을 모두 발휘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회사부심을 ‘매우 느낀다’고 응답한 직장인 그룹에서는 83.3%, ‘어느 정도’라고 답한 그룹에서도 80.9%가 ‘매우 그렇다’, ‘그런 편이다’ 등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별로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그룹에서는 71.1%로 그 비중이 낮았다.

 

‘회사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그룹에서는 ‘역량을 모두 발휘한다’는 응답이 56.3%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회사부심을 ‘매우 느낀다’고 답한 그룹에서는 ‘매우 그렇다. 내 역량을 다해 최선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응답률이 31.7%로 다른 그룹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회사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그룹에서 ‘역량을 발휘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43.7%로, ‘매우 느낀다’는 그룹의 16.7%보다 2.6배 많았다.

 

이직 의사에 있어서도 회사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직장인들은 ‘이직생각이 매우 절실하다’는 응답이 62.3%, ‘좋은 기회가 오면 이직할 것’이라는 응답이 31.8%를 차지하는 등 약 94%의 응답자가 이직의사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회사부심을 ‘매우 느낀다’는 직장인들의 이직의사는 51.7%로 눈에 띄게 낮았고 특히, 이들 중 ‘이직하고 싶은 생각이 별로 없다’는 응답은 23.3%로, 회사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직장인 그룹(2.6%)에 비해 9배나 높게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회사부심이 개인의 역량발휘와 이직의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조직관리의 측면에서 직원들의 회사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