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2030 직장인 85% “결혼 후 맞벌이”…30대 부부 적정 연봉은 6,800만원


2030 직장인 85%가 결혼 후 맞벌이를 희망하고, 30대 부부가 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적정연봉은 6,758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사 2030 남녀 직장인 964명을 대상으로 ‘맞벌이’를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2030 직장인의 85.4%는 ‘결혼 후 맞벌이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외벌이를 희망한다’는 응답은 14.6%에 그쳤다.


‘맞벌이를 원한다’는 응답은 기혼 여성 그룹이 90.0%로 가장 높은 반면, ‘외벌이는 희망한다’는 응답은 미혼 여성 그룹에서 16.5%로 가장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실제 기혼 직장인들의 맞벌이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0.9%가 ‘현재 맞벌이 중’이라고 답했다. ‘맞벌이를 희망한다’고 밝힌 응답자 중 75.8%, ‘외벌이를 희망한다’는 응답자의 34.9%가 맞벌이를 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이 맞벌이를 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컸다. 응답자들은 ‘외벌이보다는 맞벌이가 경제적으로 풍족할테니까(56.5%, 복수응답)’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부부 중 한 사람에게만 경제적 부담을 지게 하고 싶지 않아서(54.1%, 복수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만약의 경제적 위기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37.7%)’, ‘서로의 직업이나 삶을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어서(29.5%)’, ‘각자의 자아실현을 위해(29.4%)’, ‘노후의 윤택한 삶을 위해(17.9%)’ 등의 이유로 맞벌이를 희망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응답군에서 경제적인 문제를 맞벌이의 이유로 꼽은 가운데, 기혼 여성 그룹만 ‘부부 중 한 사람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고 싶지 않다(66.9%)’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와 함께 외벌이를 희망한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경우 남성들은 ‘무조건 남편(36.4%)’이 돈을 더 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부부 중 직업 및 일에 대한 의지가 더 강한 쪽’이 18.2%로 뒤를 이었다.


반면, 여성은 ‘부부 중 소득이 더 높은 쪽(28.9%)’, ‘부부 중 더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쪽(24.7%)’라는 응답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직장인들이 배우자의 직업에서 가장 바라는 점은 오래 일할 수 있는 것 즉, ‘고용안정성(34.2%)’이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20.5%)’은 2위를 차지했고, ‘근무환경 및 복리후생이 좋을 것(16.3%)’,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지 않을 것(14.5%)’ 등 순이었다. ‘높은 급여 수준’을 꼽는 응답은 12.7%에 그쳤다.


한편, 2030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30대 부부의 ‘이상적인 연봉 수준의 합’은 평균 6,758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군별로는 기혼 남성이 7,160만원으로 기대 연봉 수준이 가장 높았고, 미혼 남성 6,851만원, 미혼 여성 6,702만원 기혼 여성 6,512만원 등이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원도, 강릉 가뭄 대응 2단계 격상…“2주 뒤 큰 피해 불가피”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지 하루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도는 31일 가뭄 대책 긴급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단계 체제로 격상,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리조트·관광지에 절수를 요청했고, 휴교·단축수업 및 급식 대책도 검토 중이다.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홍제정수장은 현재 전국 소방차들이 운반한 물에 의존하고 있다. 주 공급원인 오봉저수지는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도는 전국 살수차 지원, 민간 기부와 자원봉사까지 연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는 현장 관리관을 파견해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여 부지사는 “현재로서는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뒤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범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