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목)

  • 맑음동두천 12.9℃
  • 맑음강릉 14.0℃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4.5℃
  • 맑음대구 14.9℃
  • 맑음울산 14.8℃
  • 구름조금광주 14.5℃
  • 맑음부산 12.8℃
  • 맑음고창 13.3℃
  • 맑음제주 14.7℃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3.6℃
  • 구름조금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한국농식품벤처투자협회 신년 정기총회 열고 '새출발' 결의

- 2년간의 활동과 사업실적을 기반으로 사단법인으로 새출발을 결의

- 2025년 신규사업으로 LP 교류회를 농금원과 협력하여 추진하기로

 

 

농수산식품 분야의 벤처투자 규모 증대와 투자자 저변확대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한국농식품벤처투자협회(회장 권준희, 이하 협회)가 2025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목적사업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농업정책보험금융원 2층 회의실에서 가진 올해 첫 정기총회는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으며, 1부에서는 2024년도 사업 및 결산실적을 보고하고 협회를 사단법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결의, 2부에서는 사단법인의 요건에 맞게 개정될 정관 내용을 심의하고 임원 개선에 이어 2025년 사업 및 예산계획을 의결했다.

 

임원 선출 결과 현 회장 권준희(im투자파트너스 대표) 등 기존 임원들이 대부분 유임됐다. 또, 조윤환 NH농협은행 농식품투자단장을 부회장으로, 김동환 유티씨인베스트먼트 대표와 김세현 오라클벤처투자 대표를 이사로, 김남기 마이다스동아 대표와 심재헌 AIM인베스트먼트 대표를 감사로 선출했다.

 

올해 설립 3년 차인 협회가 사단법인화를 추진하는 이유는 비법인 임의단체로서의 한계를 벗어나 정관에서 정한 목적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이다.

 

올해 협회 주요 목적사업으로는 △ 농림수산식품 산업 및 투자 정보 파악을 위한 DB 구축, 통계관리 및 백서 발간( 현재 2단계 연구용역 진행 중), △ 농림수산식품 벤처투자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 투자 심사역 인증제도 도입·시행(2025년 신규 시범사업으로 선정), △ 농림수산식품 분야 산업 동향 분석 및 유망 스타트업 발굴을 위한 조사연구(농식품 분야 투자 동향 분석보고서 발간, 2023년 1회), 우수기업분석보고서 발간 (2023년 20개, 2024년 50개), △ 농림수산식품 펀드 규모 증대 및 다양화를 위한 홍보활동(매년 국회의원실, 농금원과 공동 주관하는 정책 포럼 개최), △글로벌 벤처캐피탈 교류 및 제휴를 통한 협력사업(튀르키예 투자청 및 캐나다 대사관과 협회가 각각 공동주관으로 양국 간 VC, AC 협력을 위한 공동세미나 개최, 2024년), △ 농식품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 사업 등이다.

 

이 외에도 협회는 농금원과 협력해 농수산식품 분야 LP 교류회를 추진하고 자체 조사연구 기능 강화를 위해 운용 중인 연구·전문위원 제도를 현재 설립되고 있는 한국농식품벤처투자연구원과 연계해 그 기능을 더욱 고도화시키기로 했다.

 

한국농식품벤처투자협회는 지난 2022년 11월 1일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을 운용하는 VC, AC 간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건전한 투자활동을 촉진하고자 설립됐다. 이후 벤처투자 생태계의 성장과 선순환을 돕는 여러 사업을 통해 농수산식품 분야의 벤처투자 규모 증대와 투자자 저변확대 등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 67개 기관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참여연대·뉴스타파, 정진석 등 대통령비서실 직무유기 고소
참여연대와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 뉴스타파 홍주환 기자,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일 대법원의 확정 판결에도 '대통령실 직원명단'을 공개하지 않은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총무인사팀장 등 대통령비서실 공무원 등을 직무유기 및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혐의로 공수처에 고소·고발했다. 대통령비서실은 올해 2월 세 단체의 대통령실 직원명단 정보공개청구와 관련해 해당 정보를 공개하라는 대법원의 최종 판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보공개를 하지 않았고, 위 세 단체가 같은 내용으로 다시 한 정보공개청구에 대하여는 대통령기록물법을 이유로 재차 비공개한 바 있다. 행정소송법 제30조 제2항에 따라 정보공개거부처분취소소송에서 패소한 대통령비서실은 이에 대해 ‘재처분의무(확정판결 취지에 따른 정보공개)’를 지지만, 판결이 난 이후 대통령비서실은 어떠한 처분도 내리지 않았다. 이 뿐만 아니라 대통령비서실은 세 단체가 대법원의 판결문을 첨부하여 대통령실 직원명단을 재차 정보공개청구하였음에도 대통령기록물법 제17조와 시행령 제9조를 사유로 해당 정보를 비공개하였는데, 대통령기록물법 시행령 제9조 3항은 대통령기록물지정대상의 보호기간 기산일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다음 날로 규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