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그냥 쉰’ 청년이 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
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2,000명(34.2%)이었다. 이어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1,000명) 등의 순이었다.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의 비중은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다.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비중이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서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에서 1년∼2년 미만일 때 50.8%, 2년∼3년 미만일 때 45.1%, 3년 이상일 때 34.2%로 점차 하락했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2,000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5만4,000명), 2019년(6만4,000명)과 비교하면 절대값으로도 여전히 많은 숫자다.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고 있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였다.
한편,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하고 ‘고립 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도 내놨지만,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