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
  • 맑음강릉 7.8℃
  • 맑음서울 4.4℃
  • 맑음대전 2.9℃
  • 박무대구 4.7℃
  • 박무울산 6.6℃
  • 맑음광주 5.3℃
  • 구름조금부산 9.9℃
  • 맑음고창 1.3℃
  • 맑음제주 8.7℃
  • 맑음강화 4.5℃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5℃
  • 맑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3.4℃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멸종위기 수달, 한 해 211마리 ‘로드킬’

이용우 “사고다발구간과 국립공원에 생태통로 확충해야”
로드킬 매년 증가해 2023년 7만9279건 발생...하루 217건 발생

 

지난해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가 7만9279건 발생해 전년보다 23.8%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로드킬 사고도 증가 추세라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로드킬 사고는 7만9279건으로 전년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용우 의원은 “하루에 217건씩 일어난 셈”이라면서 “로드킬 사고는 ▲2020년 1만5107건 ▲2021년 3만7261건 ▲2022년 6만3989건 발생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중에는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등 법정보호종의 로드킬 건수도 다수 포함돼 있다. 지난해 발생한 법정보호종 로드킬 사고는 870건으로 전년(279건) 대비 늘었다”며 “천연기념물은 22건이었고 멸종위기 2급인 삵이 480건으로 가장 많았다. 멸종위기 1급인 수달도 211건에 달했다”고 우려했다.

 

또, 국립공원공단에 보호를 받는 야생동물도 매년 약 200마리 씩 로드킬로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이 국립공원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 21개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로드킬 사고로 죽은 동물은 568마리다.

 

그는 “국립공원별 로드킬 건수를 보면 지리산 국립공원이 133건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했다”며 “한려해상 국립공원은 105건, 소백산 국립공원과 설악산 국립공원은 각각 55건, 50건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립공원은 개발사업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하고 야생동물의 이동을 돕기 위해 생태통로를 두고 있다”면서 “전국 21개 국립공원 중 생태통로가 설치된 공원은 8곳에 불과하며 추가 설치 계획도 지리산 국립공원 1건뿐”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가 매년 증가 추세라는 것은 소관 부처의 관리가 미흡하다는 방증”이라며 “사고다발구간과 국립공원에 생태통로를 확충하고 인공지능 예방시스템 등 저감시설을 더 많이 설치해야한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넷마블, 22일 외부 해킹 공격으로 개인정보 유출
국내 대표 게임사 중 하나인 넷마블에서 22일 해킹 공격을 받아 고객 일부 개인정보와 PC방 가맹점주의 일부 개인정보, 일부 전현직 사원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이 유출됐다. 이번 해킹 피해는 PC 게임 사이트에서 발생해 온라인 게임보다는 PC 게임 사이트 이용 고객이 더 컸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PC 게임은 △바둑 △장기 △마구마구 △사천성 △야채부락리 △윷놀이 △캐릭챗 △당구/포켓볼 △모두의 마블 등 총 18종이다. 장르를 가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의 게임에서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모바일 게임 및 넷마블 런처 게임은 피해가 없었다. 넷마블 측 홈페이지에 올린 사과문에서 “PC 게임 사이트의 고객 정보와 2015년 이전 가맹 PC방 사업주 정보, 일부 전현직 임직원 정보가 유출됐다”며 “사실을 인지한 즉시 관계기관에 즉시 신고했다”고 밝혔다. 현재 넷마블 측은 유출 원인과 규모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사과문에 따르면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고유식별번호나 민감정보 유출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유출된 비밀번호는 넷마블 측에서 암호화해 보관 조치를 해 해당 정보만으로는 악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넷마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