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41.6% 1인 가구> 사진전시, 3월 5일부터 보안여관에서 열려

(재)숲과나눔 주최 <1인 가구>전, 16명 사진가의 다양한 시선 다뤄
1인 가구의 고독, 외로움, 반려가족, 고독사...작품 83점 선보여

한국의 1인 가구 비율은 41.6%로 그 비율이 최근 급증하면서 사회적 관심과 대응을 촉구하는 여론이 높다. 1인 가구는 세계적으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가구 형태이다. 현재 미국, 유럽 등 서구 국가들에서는 3명 중 1명이 1인 가구이다. 우리나라도 2023년 처음으로 1인 가구의 비율이 40%를 넘었고 그 비율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이제 주된 가구 형태가 되어가고 있다.

 

(재)숲과나눔은 1인가구 증가에 따라 한국 사회 전반에 나타난 변화양상을 16인 사진가의 작품에 담아 <41.6% 1인가구> 전시를 개최한다. <41.6% 1인가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늦어지는 결혼과 출산율 감소, 이혼율 증가 등으로 변화하는 가구 형태에 대해 사회학적,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한 전시이다.

 

이번 전시작은 결혼하지 않은 청년, 이혼한 중장년 등 청년·중년·노년 솔로, 고시텔과 쪽방촌 사람들, 혼자이기를 선택한 사람들 등 다양한 1인 가구가 살아가는 삶의 양태에서 외로움, 친밀감, 반려 가족, 고독사 등 생활상을 보여준다.

 

<41.6% 1인가구> 전시작은 총 83점이다. (재)숲과나눔으로부터 2023년 창작활동을 지원받은 9명의 사진가와 ‘1인 가구 사진 포트폴리오 공모’에서 당선한 7명 등 총 16명 작가가 참여했다. 

 

장재연 (재)숲과나눔 이사장은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율이 40%에 달하면서 사회, 문화, 복지, 안전, 보건, 환경 등 우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법과 제도 그리고 인식과 문화적 대응은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라며 “이번 전시가 1인 가구 비율 급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응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전시 개요

 

전시타이틀 : <41.6% 1인가구>

전시장소 : 보안여관(BOAN1942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33(통의동2-1))

전시일정 : 2024년 3월 5일(화) ~ 3월 31일(일) / 관람시간 : 12~6pm, 월요일 휴관

전시작품 : 16명의 사진가의 작품 83점

참여작가 : 강홍구, 김 원, 김흥구, 심규동, 윤정미, 이한구, 임안나, 조대연, 최형락

강민아, 박시연, 이두기, 이정미, 정미옥, 조준태, 최성문

전시주최 : (재)숲과나눔

큐레이터 : 최연하

전시문의 : (재)숲과나눔 전시담당자 : Tel. 02-6318-9009/ photo@koreashe.org

 

전시 주요 작품 이미지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