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7.3℃
  • 맑음서울 4.3℃
  • 맑음대전 3.8℃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5.6℃
  • 흐림광주 7.6℃
  • 맑음부산 7.8℃
  • 구름많음고창 5.8℃
  • 구름많음제주 10.7℃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2.3℃
  • 맑음금산 3.4℃
  • 구름많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2.6℃
  • 맑음거제 4.9℃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카이스트 동문들 "尹 대통령, 공식 사과" 요청..."삭감된 R&D 예산 복원해야"

 

1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동문 10여 명이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와 삭감된 연구개발(R&D) 예산복원을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R&D 예산 삭감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마주하는 카이스트 졸업생들 앞에서 미안함이라고는 찾을 수 없는 공허한 연설을 늘어놓고서는 행사의 주인공인 졸업생의 입을 가차없이 틀어 막고 쫒아낸 윤 대통령의 만행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많은 연구자와 석·박사 대학원생, 학부생들까지 절망에 빠져있다"며, "이 사태를 발생시킨 '1등 책임자' 윤석열 대통령에 어찌 졸업생들이 분노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며 졸업생들과 연구자들의 분노가 당연하다고 성토했다.

 

이들은 △ R&D예산 원상 복원 △ 쫓겨난 카이스트 졸업생에 대한 공식적 사죄 △ 카이스트 전체 구성원 및 대한민국 과학기술자들과 국민들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며 적극행동에 나설 것을 경고하며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기자회견문 전문]

 

R&D 예산 삭감·졸업생 강제 연행 윤석열 정부 규탄

카이스트 동문 기자회견문

 

지난 16일, 윤석열 대통령은 과학기술예산을 대규모로 삭감해놓고 미래 과학기술 인재들과 그 학부모들이 모인 2024 카이스트 학위 수여식에 뻔뻔히 나타나 축하 연설을 했다. 그것도 모자라 행사의 주인공인 졸업생이 “R&D 예산을 복원하라”는 목소리를 한번 냈다는 이유로 가차없이 입을 막고 쫓아내 강제연행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에 오늘 카이스트 동문들은 규탄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긴급하게 이 자리에 섰다. R&D 예산 삭감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마주하는 카이스트 졸업생들 앞에서 미안함이라고는 찾을 수 없는 공허한 연설을 늘어놓고서는 행사의 주인공인 졸업생의 입을 가차없이 틀어 막고 쫒아낸 윤석열 대통령의 만행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장 쫓겨난 카이스트 졸업생과 전체 카이스트 구성원에게 사죄하길 바란다.

 

이 사달의 시작은 윤석열 대통령의 '입'에서부터였다.

 

작년 6월 28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입'에서 '나눠먹기식 갈라먹기식' 이라며 R&D 카르텔을 언급한 이후 모든 예산 결정 절차가 무력화되고 IMF때도 삭감되지 않았던 과학기술예산 수조원이 가차없이 삭감되고 말았다.

 

현재, 많은 연구자와 석·박사 대학원생, 학부생들까지 절망에 빠져있다. 연구비가 삭감되어 많은 교수들과 박사후연구원이 연구장비를 구입하지 못하거나 수년간의 연구를 축소, 폐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으며 대학원생들은 당장 랩비, 연구실비가 삭감되어 연구를 해야 할 시간에 생계를 위한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학부생들은 과연 한국의 이공계에 자신의 미래를 걸 수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며 공부를 하며 꿈을 키워가야 하는 때에 절망감에 허덕이고 있다.

 

그런데 이 사태를 발생시킨 '1등 책임자' 윤석열 대통령은 후안무치하게도 수년간 밤낮없이 연구에 매진해 온 졸업생들이 당장의 예산 삭감에 갈 곳을 잃어 불안한 마음을 갖고 참석한 이 졸업식에서, 학부모들이 자식들의 미래를 걱정하며 불안한 마음을 갖고 참석한 졸업식에서, 파렴치하게 허무맹랑한 연설을 했다.

 

어찌 졸업생들이 분노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졸업생이 “R&D 예산을 복원하라”로 외쳤다고 ‘입틀막’을 당하며 자신의 졸업식에서 가차없이 쫓겨나야 하겠는가.

 

'소통'을 최우선을 하겠다면서 1조원 이상을 들여 이곳 용산으로 대통령실을 이전해 놓고 왜 졸업식의 주인공인 졸업생의 목소리는 묵살하고 억압하는가.

과연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가 맞는가?

 

카이스트 동문들은 윤석열 정부의 R&D 예산 삭감 이후 연구과제의 존폐가 달려 수개월 동안 무언의 ‘입틀막’을 강요당해 왔다.

 

그러나, 더 이상 두고볼 수만은 없다.

 

수십만 카이스트 동문과 대학원생, 학생들, 교수들이 모두 나서서 이제는 국가의 미래를 걸고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항의하고 요구해야 할 때다.

 

앞으로도 대통령의 행동 여하에 따라 카이스트 동문들은 행동에 적극 나설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다음의 사항을 요구한다.

 

하나. R&D예산 원상 복원하라!

둘. 쫓겨난 카이스트 졸업생에게 공식적으로 사죄하라!

셋. 카이스트 전체 구성원, 아니 대한민국 과학기술자들과 국민들께도 이 모든 사태에 대해 사죄하라!

 

카이스트 동문들은 오늘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이 상황을 계속 방치할 경우 과학기술계 전체가 불통과 무능, 국가의 미래까지 포기한 윤석열 대통령을 완전히 거부할 것이다.

 

2024.2.17

용산 대통령실 앞

강제연행을 규탄하는 카이스트 동문 일동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농금원, 충남도와 지역기반 농식품기업 투자 본격 추진한다
농업정책보험금융원이 충남지역경제활성화펀드(충남미래혁신기술투자조합) 100억 원 결성 시기에 맞춰 19일 충남도청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에 기반 둔 농식품기업을 발굴하고 투자 등을 지원하기 위한 이날 업무협약에는 충남도·충남테크노파크·충남경제진흥원 등이 함께 체결했다. 지역경제활성화펀드는 출자약정액의 70% 이상을 해당 지역에 소재지를 두고 있는 농식품경영체에 투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농금원은 2018년 이후 지역 기반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100억 원 이상 규모의 5개 펀드(570억 원)를 결성했다. 올해 11월에는 충남지역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펀드를 100억 원 규모로 최초 조성했다. 이번 업무협약식은 충남지역 펀드가 결성됨에 따라, 충남도가 보유한 기업정보와 농금원의 투자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기업발굴에서 투자까지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향후 투자자 대상 기업설명회(IR) 개최, 투자유치 교육 등을 통해 기업의 자금 유치 기회를 공동으로 마련하는 등 농금원과 충남도 간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서해동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수도권에 집중된 농식품기업의 투자를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수도권과 지역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