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제1회 통합환경관리 컨퍼런스 ... 2.0시대 개편방안 논의

 

제1회 통합환경관리 컨퍼런스가 오늘(11일)부터 이틀 간 전남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통합환경관리제도 관계자 간 교류와 소통의 장을 마련해 제도시행 초기의 성과를 점검하고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통합허가사업장, 전문컨설팅업체(허가대행업), 허가 및 사후관리관계기관 등 700여 명이 참석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지난 6년간의 성과와 여러 미비점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환경관리제도 2.0시대 개편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통합환경관리제도 1.0시대가 2024년까지 최초 통합허가를 중심으로 제도가 적용됐다면, 2.0시대는 2025년부터 허가재검토 및 변경허가를중심으로 제도가 적용된다.

 

오늘 행사에는 대형사업장의 환경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관계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게 되고 이를 환경부가 추진하는 통합환경관리제도 개선연구과제에 적극 반영된다.

 

통합환경관리제도는 대기오염물질을 연간 20톤 이상, 혹은 수질오염물질을 연간 700톤 이상 배출하는 약 1,400개 대형사업장에 대해 7개 법률 10개 환경 인·허가를 통합하여 시행하는 제도로 지난 2017년 처음 시행됐다.

 

지난해 말까지 718개 사업장이 통합환경허가를 완료했는데, 이들 사업장은 평균적으로 79.6%의 시설에 최적가용기법이 적용돼 초미세먼지 유발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먼지)을 32.3%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8월 기준으로 159개의 전문컨설팅업체가 등록돼 1,135명의 전문인력이 채용됐다.

 

이창흠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통합환경관리제도는 과학적 환경관리를 통해 기업의 청정생산 능력을 높이는 제도”라며 “우리 기업이 세계 최고의청정생산 경쟁력을 확보하여 날로 높아지는 녹색무역 장벽을 뛰어 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광주 금호타이어 화재로 공장 절반 불 타…수출에 지장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송정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공장 절반 이상이 불에 타고 타이어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인명 피해도 발생한 가운데, 완전 진화까지 수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7시 11분께 신고가 접수된 화재는 타이어 생산의 초기 단계인 정련 공정(생고무·화학약품 혼합 공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고무 예열 장치에서 불꽃이 발생하며 인근 가연성 물질에 불이 옮겨붙었고, 빠르게 확산됐다. 직원들이 초기 진화를 시도했으나 화세를 막지 못했고, 일부 건물에서는 붕괴 조짐까지 나타나며 진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까지 20대 직원 1명(다리 골절), 50대 소방관(화상), 30대 소방관(두부 외상) 등 총 3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발생한 광주공장은 서쪽(2공장)과 남쪽(1공장)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서쪽 공장의 약 70% 이상이 소실됐다.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됐고, 광주 전역 소방 인력과 장비가 투입됐다. 산림청 헬기까지 동원돼 인근 강에서 물을 퍼 날라 진화 중이다. 화재로 인한 타이어 생산 중단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는 “진화 후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