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고양특례시, 2030년 인구증가에 따라 1일 630t 규모 소각시설 필요

경기 고양특례시가 2030년 인구 114만명 대비 1일 630t 규모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시에 따르면 지난 24일 시청대회의실에서 박원석 제1부시장을 비롯하여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위원회, 폐기물처리시설 신규건립 TF팀 등 관계자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고양시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 24일 개최한 고양시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용역 최종보고회 모습<고양특례시 제공>

 

이번 용역은 2026년부터 정부의 생활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 정책에 대한 대비와 고양시 생활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2월부터 추진됐다.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2030년 예상 인구는 114만여명(외국인 포함)으로 창릉신도시 등 공공택지개발지구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제외한 소각대상 생활폐기물은 △종량제 생활폐기물 361톤 △재활용 잔재물 35톤 △음식물 협작물 7톤 △대형폐기물 38톤 △하수슬러지 83톤 등 1일 524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를 위해서 1일 630톤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외에 1일 140톤을 처리할 재활용선별시설이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고 음식물 폐기물은 기존 고양바이오매스 에너지시설과 신규 공공택지 개발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등을 통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신규 소각시설을 조성을 위해 자연녹지지역 기준 4만3470㎡의 부지와 주민편익시설 부지 2만4463㎡이 필요하고 예상 총 사업비는 국비지원금을 포함 약 4163억원, 이중 주민편익시설에는 568억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번 고양시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용역 결과를 토대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입지결정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 계획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위원회 역할 △입지 후보지 신청방법 등을 내용으로 오는 28일 폐기물처리시설 입지결정계획을 공고할 예정이다.

 

이날 용역보고회에서는 고양시·도·시의원, 토목·건축·환경·법무 등 관계전문가, 시민대표로 구성된 14명의 입지선정위원회 위원이 위촉되었으며 폐기물처리시설 입지결정계획 공고 결과 신청한 입지를 대상으로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의 필요 여부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를 위한 전문연구기관의 선정‧ 조사계획 수립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의 선정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사업시행에 따른 사회적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양시 생활폐기물을 김포시, 파주시에서 처리하는 광역 소각장 설치를 추진했으나 폐기물 반입 지자체 여건 상 시민의 이해와 의회 동의 등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가에서 정한 법적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양시 자체 계획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 조성사업을 진행하되 인근 지자체와의 협의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광주 금호타이어 화재로 공장 절반 불 타…수출에 지장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송정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공장 절반 이상이 불에 타고 타이어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인명 피해도 발생한 가운데, 완전 진화까지 수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7시 11분께 신고가 접수된 화재는 타이어 생산의 초기 단계인 정련 공정(생고무·화학약품 혼합 공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고무 예열 장치에서 불꽃이 발생하며 인근 가연성 물질에 불이 옮겨붙었고, 빠르게 확산됐다. 직원들이 초기 진화를 시도했으나 화세를 막지 못했고, 일부 건물에서는 붕괴 조짐까지 나타나며 진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까지 20대 직원 1명(다리 골절), 50대 소방관(화상), 30대 소방관(두부 외상) 등 총 3명이 부상을 입었다. 화재가 발생한 광주공장은 서쪽(2공장)과 남쪽(1공장)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서쪽 공장의 약 70% 이상이 소실됐다.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됐고, 광주 전역 소방 인력과 장비가 투입됐다. 산림청 헬기까지 동원돼 인근 강에서 물을 퍼 날라 진화 중이다. 화재로 인한 타이어 생산 중단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는 “진화 후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