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9 (월)

  • 맑음동두천 24.5℃
  • 구름조금강릉 22.0℃
  • 맑음서울 25.8℃
  • 구름많음대전 21.0℃
  • 흐림대구 19.1℃
  • 울산 18.8℃
  • 흐림광주 21.1℃
  • 부산 18.9℃
  • 구름많음고창 20.2℃
  • 제주 23.2℃
  • 맑음강화 20.7℃
  • 구름많음보은 19.8℃
  • 구름많음금산 20.7℃
  • 흐림강진군 21.0℃
  • 흐림경주시 19.1℃
  • 흐림거제 19.1℃
기상청 제공

정보


中企 입사 1년 못채우는 조기 퇴사율 평균 '17.1%'

지난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신입사원 5명 중 1명이 입사한 지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지난해 신입 직원을 채용한 중소기업 160개사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 퇴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지난해 채용한 신입사원 중 입사한 지 1년 안에 퇴사한 직원이 있는가’ 질문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중 87.5%가 ‘있다’고 답했다. 채용한 신입사원 중 조기 퇴사한 직원의 비율은 평균 17.1%로 집계됐다. 5명 중 약 1명에 이르는 수준이다.

 

이들 신입사원들의 퇴사 시기는 ‘입사 후 3개월 이내’가 누적비율 56.4%로 절반을 넘었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 2명중 1명은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퇴사한 것이다.

 

어렵게 취업한 회사에서 신입사원들이 조기 퇴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직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들이 회사에 밝힌 퇴사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1위는 ‘실제 업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르기 때문’으로 응답률 45.7%로 가장 높았다.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라는 이유도 41.4%로 다음으로 높았다.

 

이어 ‘다른 기업에 취업했다(36.4%)’는 퇴사자가 많아, 취업 후에도 구직활동을 계속하는 신입사원이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됐다. 이 외에는 △기업문화가 맞지 않는다(22.9%) △연봉이 낮다(17.9%) △업무량이 많다(15.7%) 순의 이유가 있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일까?

 

중기 인사담당자 중에는 ‘채용 시 직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답변이 41.9%(응답률)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연봉 외에 인센티브 등 다양한 보상을 도입해야 한다’는 답변도 응답률 38.8%로 다음으로 높았다.

 

이 외에는 △복지제도를 강화해야 한다(31.9%) △채용할 때 조직문화와 복지제도에 대해 공유되어야 한다(24.4%)는 순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아이들을 끔찍하게 사랑했던 교육계의 큰 별 문용린 전 장관 별세
어린이들을 어느 누구보다 사랑했던 우리나라 교육계의 대부 문용린 전 교육부장관·서울시교육감이 별세했다. 고인이 된 문용린 전 장관은 1947년 만주에서 태어났다. 고인은 서울대 교육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교육심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89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했다. 학자 출신으로 학생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도와야 한다는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에 기여해왔다. 고인은 김영삼 정부 때부터 교육자치제 개혁, 교원정책 개혁,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등 교육개혁 정책에 깊이 관여해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김대중 정부 시절이던 2000년 교육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지난 2012년 8월, 서울대 교수에서 정년퇴임한 고인은 서울시 교육감에 당선되기도 했다. 고인은 서울시 교육감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학교폭력 예방단체인 푸른나무재단 이사장,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장 등을 지내며 활발히 활동해왔다. 유달리 어린이들을 사랑했던 고인은 2014년 서울시교육감으로 재직할 당시 전라남도 진도군 소재 조도초등학교 대마·관사·거차 분교 학생과 지도교사 등 16명을 초청하도록 지원하는 등 M이코노미뉴스가 추진한 도서지역 어린이 '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