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규모 7.8의 강진과 6.7의 여진이 잇따라 발생해 현재까지 4000명 이상이 숨졌다고 튀르키예 재난관리국이 밝혔다.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일주일간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고 세계 각국 정상들은 인도적 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약속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에르도안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국인 튀르키예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 지진으로 다치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에게 (미국) 국민을 대신해 애도를 표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인도적 차원에서 적극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국가안보실과 외교부에 지시했다. 관계부처에는 외교부를 중심으로 튀르키예 추가 지원에 대한 방안을 적극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새벽 트위터를 통해 “한국전쟁에서 피를 흘리며 맺어진 형제 튀르키예를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
튀르키예는 6·25 전쟁에 우리나라 우방국으로 참전했다. 당시 미국, 영국, 캐나다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했는데 이 중 대부분이 자원병이었다. 총 1만5000여명이 참전해 3200여명의 사상자를 냈다.
당시 실화를 바탕으로 참전 부사관인 슐레이만 딜빌리이와 한국 고아와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아일라가 국내에서 개봉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