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직장인 출퇴근 소요시간 '1시간 24분'

 

직장인들이 출퇴근을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24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있어 길 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들은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907명을 대상으로 출근과 퇴근을 위해 얼마의 시간을 사용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평균 1시간 24분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거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의 출퇴근 소요 시간이 평균 1시간 42분으로 가장 길었다. 서울에 사는 직장인들은 평균 1시간 19분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61분을 출퇴근에 사용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에게 출퇴근 길에 느끼는 피도로를 점수로 환산(*100점 만점 기준)하게 해 봤다. 그 결과 출퇴근 시간이 가장 긴 경기권 거주 직장인들의 피로도가 74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지방 거주 직장인들이 환산한 출퇴근 피로도 점수는 71점으로 집계됐다.

 

직장인들이 출퇴근에 이처럼 높은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 오늘도 어김없이 출근이라는 현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의견이 응답률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퇴근길 스트레스 요인 두번째는 거주 지역에 따라 달랐다. 서울과 경기권 직장인들은 사람이 너무 많은 만원 버스와 지하철(44.7%, 39.6%)'을, 지방 거주 직장인들은 늘 모자란 몇 분, 지각할 까봐 아슬아슬한 긴장감(34.7%)을 꼽았다. 또 경기권 직장인들 중에는 회사와 집의 거리가 너무 멀어(39.3%) 피로감이 높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외에도 직장인들의 출퇴근길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27.2%) △꽉 막힌 도로사정(28.3%) △백팩 어택, 쩍벌 탑승자 등 가지각색 민폐 승객(11.2%)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긴 시간, 스트레스 받으며 출퇴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은 무엇을 하며 그 시간을 달랠까? 조사 결과, 음악을 듣는 다는 의견이 응답률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영상 시청(28.4%)과 운전과 걷기 등 이동 자체에 집중한다(25.4%)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모바일 메신저, 문자(25.1%) △잠자기, 휴식(25.0%) △웹소설, 웹툰 등 e-book 독서(14.8%) △모바일 게임(11.4%) 등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출퇴근 수단은 자차 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는 의견이 훨씬 많았다. △직접 운전해 출퇴근한다고 답한 이들은 19.3%였고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각 31.3%와 21.1%를 차지했다. 지하철과 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직장인은 18.2%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주노총 카라지회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과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는 16일 “시민단체 해산 위기까지 몰아넣은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카라지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10일 열린 동물권행동 카라(이하 카라) 임시총회에서 카라 대의원 권은정 씨의 양심고백으로 전진경 대표의 충격적 비리행위가 밝혀졌다”면서 “전 대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대로 총회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에 카라 대의원에게 개인 연락을 취해 지지 발언을 청탁하고 거짓 정보까지 유포하는 등 비리 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카라 이사진은 2014년 성악가 조수미 명예이사의 기부금 및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마련한 카라 소유 마포구 건물(감정평가 41억)을 후원자들도 모르게 이사회 내부 결정만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이하 카라지회)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번 임시총회가 급히 개최됐다”며 “사단법인 카라의 주무관청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는 ‘법인 목적 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을 ‘기본재산’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기본재산 미등록 자산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변경 절차를 진행할 것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