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MZ세대 알바생 ‘행복지수’보다 ‘스트레스지수’ 더 높아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 알바생은 ‘행복지수’보다 ‘스트레스지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이 MZ세대 알바생 1,736명을 대상으로 ‘알바생 행복지수 & 스트레스지수’를 조사해 30일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알바생들 스스로 매긴 자신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59.4점을 기록했다. 행복지수는 남성 알바생이 평균 60.5점으로 여성 알바생 58.5점에 비해 다소 높았다.

 

실제 이들 MZ세대 알바생들에게 현재 행복한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행복한 편(47.3%)이라는 응답이 행복하지 않은 편(40.3%)이라는 응답보다 다소 높았다. 이외에 △전혀 행복하지 않다(6.6%) △무척 행복하다(5.9%) 순이었다.

 

이들 알바생들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으로는(*복수응답) △아픈 곳이 없이 건강할 때가 응답률 23.7%로 가장 높았으며, 근소한 차이로 △하는 일이 즐겁고 재미있을 때(21.0%) △대인관계가 좋을 때(16.2%) △알바를 통해 스스로 돈을 벌며 보람을 느낄 때(15.6%) △뚜렷한 목표와 꿈이 있을 때(14.7%)가 상위 5위 안에 올랐다.

 

알바몬 관계자는 “최근 자신만의 목표를 세워 성실하게 실천하는 ‘갓생살기’를 하는 MZ세대들이 늘면서, 이들 세대 알바생들도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향 늘고 있다”면서 “최근 알바몬은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한 ‘알바의 플랜을 리스펙트’란 콘셉트로 광고 캠페인을 기획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이 들 때(14.6%)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잠자거나 휴식할 때(11.3%)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때(10.8%) △가족들과 함께 있을 때(10.7%) 행복을 느낀다는 응답도 있었다.

 

반면, MZ세대 알바생들의 스트레스지수는 행복지수 보다 4.4점 높은 평균 63.8점으로 집계됐다. 스트레스지수는 여성 알바생들이 65.1점으로 남성 알바생 62.4점에 비해 다소 높았다.

 

이들 알바생들이 현재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이유는(*복수응답) △취업준비로 인한 스트레스가 응답률 41.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생활비 충당(37.6%) △향후 진로(32.3%) △코로나19 상황(19.8%) △학과 공부(16.5%) 등의 순이었다.

 

MZ세대 알바생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는 △영화 감상 등 취미생활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다는 응답이 42.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주가무(18.4%) △운동(17.7%) △나를 위한 쇼핑(17.4%) △친구와의 상담(17.2%) △온라인 게임(15.6%) 등의 순이었다. 반면 알바생 4명 중 1명 정도인 23.0%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