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9.8℃
  • 맑음서울 16.2℃
  • 맑음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19.3℃
  • 구름많음울산 16.8℃
  • 구름조금광주 18.7℃
  • 구름많음부산 19.4℃
  • 구름조금고창 17.7℃
  • 흐림제주 18.3℃
  • 맑음강화 13.6℃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8.0℃
  • 구름조금강진군 19.2℃
  • 구름조금경주시 19.5℃
  • 구름조금거제 18.0℃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첫 알바 시작한 나이 평균 '19.9세'

 

아르바이트를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나이는 평균 19.9세, 처음 알바는 ‘대학교 입학 후’와 ‘수능 끝난 후’ 시작했다는 성인남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1,787명을 대상으로 <첫 알바 시기와 이유>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20일 공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처음 알바를 시작한 시기’는 ‘대학교 입학 후’라고 답한 응답자가 35.5%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수능 끝난 후’라 답한 응답자가 21.7%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외에 ‘고등학교 시절’ 아르바이트를 처음 시작했다는 응답자도 18.4%로 적지 않았고, ‘고등학교 졸업 후’ 처음으로 알바를 시작했다는 응답자가 18.1%로 다음으로 많았다.

 

또 처음 알바를 시작하는 나이가 조금씩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알바경험자들의 처음 알바를 시작한 나이는 평균 20.2세로 집계됐는데, 30대는 평균 19.6세, 20대는 평균 19.9세로 40대에 비해 20~30대에서 소폭 낮아진 것이다. 전체 응답자의 처음 알바 시작한 나이는 평균 19.9세로 집계됐다.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이유도 ‘용돈을 직접 벌기 위해서’라는 답변이76.9%(복수선택 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부모님께 용돈을 받지 않고 직접 용돈을 벌기 위해 알바를 시작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이다.

 

이어 ‘일을 해보고 싶고 돈을 벌어보고 싶어서’ 첫 알바를 시작했다는 답변도 43.4%로 다음으로 많았고, ‘무언가 사고 싶은 것이 있거나(21.5%)’, ‘남는 시간을 보람 있게 보내고 싶은(11.7%)’ 목적이 있어서 처음 알바를 시작했다는 답변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신만의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알바생들의 인식은 최근 알바몬의 새 광고에 그대로 녹아 있다. 계획대로 신나게 일해서 돈을 벌어 목표를 이루려는 각자 인생에 진심인 요즘 세대에게 알바몬은, 광고를 통해 그들의 플랜을 리스펙트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한편, 처음으로 했던 알바 직종은 ‘일반음식점 알바’를 했다는 응답자가 20.6%(복수선택 응답률)로 가장 많았고, 이어 프랜차이즈 음식점(13.5%) 카페/디저트 전문점(13.3%) 편의점(12.4%) 백화점/유통점/마트(6.9%) 순으로 첫 알바를 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을지로위원회, 정부 향해 “홈플러스 살릴 수 있는 M&A 추진해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위원장 민병덕)는 4일 국회 소통관에서 ‘허울뿐인 인수의향서 제출, 홈플러스를 살릴 수 있는 M&A를 추진하라’ 기자회견을 열었다. 홈플러스는 지난 10월 31일 인수의향서 접수를 마감했다. 그러나 제출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연 매출 5억 원, 영업이익률 –1000%라는 초라한 실적의 기업이며, 다른 한 곳은 유통 경험이 전혀 없는 부동산 개발업체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이날 “이 같은 부적격 기업의 참여는 회생 절차를 진지하게 접근하기보다는 사모펀드의 책임 회피를 위한 들러리일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번 사태로 2만 명 직접 고용 노동자, 8~9만 명의 간접고용 인력, 1,800여 납품업체, 8,000여 입점업체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높다. 이들은 “지금이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정부는 즉각 고용·영업 승계가 가능한 공공적 인수 추진과 지역경제 보호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민병덕 을지로위원장은 “올바른 홈플러스 회생은 노동자·입점점주·협력업체·전단채 피해자들의 생계를 지키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투기자본의 잔치가 아닌, 서민의 일터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