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하반기 취준생 “평균 6.1회 지원해 1.4회 서류합격”

 

신입 구직자들은 올 하반기에 평균 6.1회 입사지원 해 1.4회 서류합격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취업지원을 했던 기업은 중견기업과 대기업이 비교적 많았으며,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곳은 중소기업이 가장 높아 차이가 있었다.

 
잡코리아가 올 하반기 입사지원 활동을 한 신입 구직자 6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구직자들은 평균 6.1곳의 기업에 입사지원을 했으며, 이들 기업 중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곳은 평균 1.4곳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입사지원 횟수를 구간 별로 살펴보면 3곳 미만(31.6%)’으로 지원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3곳~5곳 미만(29.9%) △5곳~7곳 미만(15.1%) △19곳 이상(7.6%) △9곳~11곳 미만(5.5%) 등의 순이었다.

 

다음으로 신입 구직자들이 지원한 기업 형태는(*복수응답) △중견기업이 응답률48.8%로 가장 많았으나, △대기업(44.5%) △중소기업(40.7%)에 지원한 비율도 크게 차이는 없었다. 이 외에 △공기업/공공기간 28.0% △외국계 기업 15.7% 순이었다.

 

하지만, 서류전형 합격통보를 받은 기업은(*복수응답) △중소기업이 응답률 41.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견기업(33.9%) △대기업(29.9%) △공기업/공공기관(27.2%) △외국계기업(12.2%) 순이었다.

 

서류전형 합격 횟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모두 불합격’이 38.2%로 전체의 3분의 1을 넘어 눈길을 끌었다. 다음으로 △1곳(21.1%) △2곳(15.6%) △3곳(11.6%) 등의 순으로 합격했다는 답변이 많았다.

 

서류전형에서 ‘모두 불합격’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복수응답) △타 경쟁자에 비해 나의 스펙이 부족한 거 같아서가 응답률 54.8%로 절반 이상이 넘었으며, 다음으로 △경쟁률이 너무 높거나 하반기 채용인원이 적어서(41.5%) △인턴/대외활동 등 직무 관련 경험이 부족해서(36.7%) △자기소개서/이력서 준비가 부족해서(35.5%) △기업 정보 수집 및 분석이 부족해서(16.9%) 등을 꼽았다(*복수응답).

 

한편, 이번 잡코리아 조사에 참여한 신입 구직자 32.0%는 취업만 된다면 일단 어디든 입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68.0%는 목표기업을 정해두고 취업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연말까지 목표로 한 기업에 취업이 되지 않을 경우 △일단 합격한 곳에 입사한 뒤 재취업을 준비하겠다는 구직자가 44.8%로 가장 많았으며, △어느 기업이든 합격하는 곳으로 취업하겠다(31.4%) △취업재수를 해서라도 목표 기업에 취업하겠다(15.9%) △취업 대신 다른 길을 찾아보겠다(6.0%) 등의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주노총 카라지회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과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는 16일 “시민단체 해산 위기까지 몰아넣은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카라지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10일 열린 동물권행동 카라(이하 카라) 임시총회에서 카라 대의원 권은정 씨의 양심고백으로 전진경 대표의 충격적 비리행위가 밝혀졌다”면서 “전 대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대로 총회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에 카라 대의원에게 개인 연락을 취해 지지 발언을 청탁하고 거짓 정보까지 유포하는 등 비리 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카라 이사진은 2014년 성악가 조수미 명예이사의 기부금 및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마련한 카라 소유 마포구 건물(감정평가 41억)을 후원자들도 모르게 이사회 내부 결정만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이하 카라지회)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번 임시총회가 급히 개최됐다”며 “사단법인 카라의 주무관청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는 ‘법인 목적 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을 ‘기본재산’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기본재산 미등록 자산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변경 절차를 진행할 것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