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0.5℃
  • 흐림강릉 14.1℃
  • 맑음서울 12.9℃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7.2℃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N잡러 10명 중 7명 “N잡으로 피보팅 의향 있어”

 

N잡 하는 직장인 10명중 7명이 만약 알바나 부업 등의 N잡으로 원하는 수입을 올린다면 N잡을 주 직업으로 '피보팅'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잡코리아가 지역기반 재능거래 앱 ‘긱몬’과 함께 N잡하는 직장인 535명을 대상으로 <직업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23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N잡하는 직장인의 10명중 7명에 이르는 71.4%가 ‘만약 알바나 부업 등 N잡으로 원하는 수입을 올릴 수 있다면 본업을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20대 직장인 중 70.0%, 30대 중에는 73.0%, 40대이상의 직장인 중에도 73.1%로 연령대와 비례해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직장인(68.3%) 보다 여성직장인(73.0%) 중 본업을 바꿀 의향이 있다는 답변이 높았다. 이들에게 한 달 수입이 어느정도 되면 N잡을 본업으로 바꿀 것 같은지 질문한 결과 월 수입이 평균 313만원정도에 이르면 본업으로 전환할 것 같다고 답했다.

 

실제 직장인 N잡러 중에는 수입을 높이기 위해 ‘N잡’을 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잡코리아와 긱몬이 N잡러 직장인들에게 ‘N잡을 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수입을 높이기 위해’라는 답변이 복수선택 응답률 61.9%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외에는 △관심 분야의 다양한 일을 경험해보고 싶어서(26.2%) △본업에서 받는 고용불안감을 줄이기 위해(23.7%) △본업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16.1%) 알바나 부업 등 N잡을 한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N잡은 ‘온라인’으로 일을 하는 직장인이 2명중 1명 수준으로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온라인’으로 N잡을 한다는 응답자가 52.3%로 과반수에 달했다. 오프라인으로 N잡을 한다는 응답자는 30.1%로 뒤이어 많았고, 이 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해 N잡을 한다는 응답자는 17.6%로 조사됐다.

 

N잡 아이템도 ‘문서작성/편집’을 한다는 직장인이 20.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마케팅/SNS’ 관련 일을 한다는 응답자가 14.6%로 많았고, 다음으로 ‘상품 주문 제작(9.7%)’이나 ‘영상/사진 편집(9.7%)’ 관련 일을 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특히 20대 직장인 중에는 ‘문서작성/편집(21.6%)’ 다음으로 ‘마케팅/SNS(14.1%)’와 ‘카페/바리스타(14.1%) 일을 한다는 직장인이 많았고, 이어 ‘영상/사진 편집(9.5%)’이나 ‘디자인/드로잉/일러스트(9.2%)’ 일을 한다는 응답자가 뒤를 이었다. 30대 직장인 중에는 ‘문서작성/편집(21.6%) 다음으로 ‘마케팅/SNS(15.7%)’, ‘상품 주문 제작(10.8%)’, ‘디자인/드로잉/일러스트(10.3%)일을 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알바나 부업 등 N잡의 개수는 전체 응답자 평균 1.5개로 집계됐다. N잡을 하는 직장인 대부분이 1개~2개의 알바나 부업을 한다고 답한 것이다. 또 직장인 N잡러 중에는 일주일에 ‘1~2일정도(39.6%)’ N잡을 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주 3~4일(26.2%)’ N잡을 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매일’ N잡을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13.8%에 그쳤다.

 

알바나 부업 등 N잡을 하는 날에는 하루 평균 3시간24분정도 일을 한다고 답했다. N잡을 하는 날에는 퇴근 후 저녁시간을 온전히 N잡을 하는 것에 보내는 것이다. 현재 직장인들이 N잡을 통해 올리는 수입은 한 달 평균 62만원 정도로 조사됐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