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알바생이 꼽은 최고의 브랜드 알바 1위는 'CGV'

 

2030 아르바이트생이 뽑은 최고의 브랜드 알바는 CGV인 것으로 조사됐다. 알바몬이 실시한 브랜드 알바 선호도 조사에서 남녀 알바생들은 가장 일하고 싶은 브랜드로 CGV를 선택했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은 최근 20대~30대 남녀 아르바이트생 1466명을 대상으로 가장 일해보고 싶은 브랜드 알바를 꼽아보게 했다. 이를 위해 외식, 여가, 유통 등 각 분야에서 아르바이트 공고수가 가장 많은 브랜드를 추려 상위 50개 브랜드를 보기로 제시(*가나다 순)했다.

 

알바몬은 우선 설문에 참가한 아르바이트생들에게 ‘브랜드 알바를 하고 싶은가?’ 질문했다. 그러자 76.1%가 '기왕이면 브랜드 알바를 하고 싶다'고 답했고, 이들이 꼽은 가장 일하고 싶은 브랜드 알바 1위는 △CGV(25.5%)가, 2위는 △교보문고(19.0%)가 올랐다.

 

선호하는 브랜드 알바 3순위 부터는 성별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 남성은 3위 △GS25(13.1%), 4위 △나이키(10.6%), 5위 △CU(10.3%), 6위 △롯데시네마(10.1%), 공동 7위 △투썸플레이스 △CJ온스타일 △카카오프렌즈(7.8%), 10위 △현대백화점(7.3%) 순으로 일해보고 싶은 브랜드 알바를 선택했다.

 

반면 여성 알바생들은 3위 △투썸플레이스(14.5%), 4위 △롯데월드(10.7%), 5위 △올리브영(10.2%), 공동 6위 △롯데시네마 △파리바게뜨(9.9%), 8위 △GS25(9.2%), 9위 △영풍문고(9.0%), 10위 △메가박스(8.7%) 순으로 일하고 싶은 브랜드 알바를 꼽았다.

 

이들이 위의 브랜드 알바에서 일하고 싶은 이유(*복수응답)는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이기 때문'이 응답률 57.9%로 가장 높게 선택됐다. 다음으로 △일이 재미있을 것 같아서(34.1%) △다양한 복지제도가 있을 것 같아서(24.6%) △일할 수 있는 매장이 많아서(23.3%) △다른데 보다 급여수준이 높아서(12.3%) △나중에 취업하고 싶은 브랜드, 회사여서(9.8%) 등의 이유로 해당 브랜드 매장에서 근무해 보고 싶다고 답했다.

 

한편, 실제로 브랜드 알바를 해본 경험자들은 브랜드 알바의 장점(*복수응답)으로 △유니폼이 지급됐다(41.9%) △업무 매뉴얼이 있어서 업무를 숙지하기 좋았다(36.6%) △휴게시간, 공간이 별도로 주어졌다(24.6%) △책임 소재, 해야 하는 일, 업무 내용이 분명했다(24.1%) 등을 꼽았다.

 

반면 브랜드 알바의 단점으로는 △너무 손님이 많아서 숨돌릴 새도 없었다(48.0%) △기대만큼 급여나 복지가 좋지 않았다(27.2%) △너무 많은 메뉴, 상품, 서비스 때문에 숙지해야 할 게 너무 많았다(24.6%) △규정, 매뉴얼대로만 하느라 융통성이 없었다(22.7%) △까다로운 평가와 교육이 수시로 이루어졌다(22.7%) △고객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하다 보니 오히려 알바의 인권은 무시하기 일쑤였다(16.3%) 등이라 답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