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직장인 10명 중 3명 "스타트업으로 이직 원해"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스타트업은 ‘당근마켓’

 

남녀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스타트업 이직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대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이직 관심 정도가 타 연령에 비해 다소 높았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20대 이상 남녀 직장인 1558명을 대상으로 ‘스타트업 이직 관심 정도’를 조사해 그 결과를 25일 내놨다.

 

먼저 이직할 회사로 스타트업을 선택할 의향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직장인 10명 중 3명이 ‘스타트업으로의 이직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분석해 보면 30대 직장인들 중 35.2%가, 40대 이상 직장인 사이에서는 31.2%가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반면 20대 직장인에서는 스타트업 이직을 희망하는 이들이 27.9%로 타 연령에 비해 다소 낮았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스타트업의 경우 신입 또는 경력이 낮은 사회초년생 보다는 혼자서도 직무를 온전히 담당할 수 있는 경력자를 선호하기 때문에 20대가 생각하기에 취업문이 좁다고 여긴 것"이라고 분석했다.

 

나머지 56.0%의 직장인들은 ‘스타트업으로의 이직을 고민해 보지 않아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었다.

 

그 외 13.5%는 △안정적인 조직을 선호해서(60.0%) △스타트업은 조직 체계나 기본이 잡혀 있지 않을 것 같아서(39.5%) △스타트업이 성공할지 장담할 수 없어서(31.0%) 등을 이유(*복수응답)로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희망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직장인들은 어떤 점에 끌렸을까. 그 이유(*복수응답)를 조사한 결과, ‘성장 가능성’이 응답률 65.1%로 가장 높게 선택됐다. 전 연령층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 같아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근무 분위기가 젊고 자유로울 것 같아서(56.0%) △지원자의 학벌과 스펙 등을 크게 보지 않을 것 같아서(29.9%) △재택근무, 자율출퇴근제 등 근무형태가 유연할 것 같아서(28.0%) △수평적이고 이른바 '꼰대문화'가 없을 것 같아서(22.1%) △향후 스톡옵션 등을 통해 몫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10.3%) 등을 이유로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가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향후 유망할 것 같은 스타트업 분야가 무엇인지도 조사했다. 해당 질문에 남녀 직장인들은 △AI(인공지능) 관련(24.4%) 산업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스마트 스토어 등 전자상거래 분야(17.3%) △친환경/재생에너지 관련(11.2%) △웹툰/웹소설/이모티콘 등 문화 콘텐츠 관련(8.6%) △기업 경영효율화를 돕는 B2B 비즈니스 솔루션 분야(7.2%) 순으로 유망 분야를 꼽았다.

 

스타트업 이직에 관심 있는 직장인 대상으로 현재 가장 관심 있게 보는 기업이 있는지도 조사했다.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당근마켓이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2위 쿠팡, 3위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4위 컬리(마켓컬리), 5위 카카오 순으로 꼽았다.

 

위의 스타트업을 관심 있게 보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실제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31.4%)이 응답률 31.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일자리 창출 등 사회에 많은 기여를 한 곳이어서(29.5%) △사업 아이템이 재밌어서(28.6%) △평소 관심 있던 분야라서(20.4%) 등을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교육 시행해 ‘보이스피싱’ 예방 나선다
최근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7000억 여원에 달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은행 직원이나 가족을 사칭한 뒤 송금을 유도하는 수법이 늘어나면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서울 성북구 장위순복음교회와 노인복지센터 청춘행복학교가 손잡고, 어르신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시니어 스마트폰 활용 단기 특강’을 개최한다. 교육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6회 과정으로 진행되며,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마련됐다. ◇보이스피싱 예방에 초점 맞춘 교육 이번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스마트폰 기능 익히기를 넘어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 예방’에 방점을 둔 것이다. 참가자들은 △비밀번호 관리 및 지문·얼굴 인식 보안 설정 △스팸전화 차단 기능 활용 △의심스러운 문자·앱 판별법 △안전한 모바일 결제 습관 등을 실습을 통해 직접 익히게 된다. 또한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부터, 실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