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정치


4월 서울시장 선거, 야권 '기호 2번-4번' 논쟁

吳·羅 "조직 선거 성격 강해…당의 힘있어야 뒷심 있다" 安 "기호 2번 7연패"
일각에선 안철수 단일 후보되면 '무소속 출마도 바람직'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야 후보들 간 단일화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야권 단일 후보의 기호를 놓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국민의힘 후보들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자신들의 기호인 '2번'을 달아야만 승산이 있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기호 4번'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의힘 오세훈 예비후보는 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야권 단일후보로 누가 되든 2번을 달고 나와야 한다. 4번 달면 나가서 진다'라는 말에 동의하느냐고 묻는 말에 "그럴 확률이 높다"라고 답했다.

 

오 예비후보는 "가능하면 기호 2번을 달고 출마하는 게 아마 득표에는 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일반 국민 여러분들, 유권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지금 당세가 확실히 차이가 나지 않느냐"라며 "시장 혼자 시정을 이끄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보궐선거이기 때문에 조직 선거의 성격이 강하다. 투표율이 많이 낮을 것"이라며 "그런 경우를 산정해 보면 국민의힘 하부조직들이 아무래도 국민의당보다는 더 광범위하고 단단하다"라고 했다.

 

나경원 예비후보 역시 같은 방송에 출연해 "당이라는 것을 무시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라며 "누가 진짜 일을 할 수 있느냐. 그래도 당의 힘을 가지고 있는 후보가 소위 뒷심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나 예비후보는 야권 단일 후보로 안철수 후보가 될 경우 선거운동을 하실 생각이 있느냐 질문에 "당연히 해 드려야 할 것"이라면서도 "그런데 그때 저희 당에서 이야기하는 2번 얘기가 그런 것이다. 보궐선거라서 투표율이 일반 선거보다는 좀 낮지 않겠느냐. 우리 당의 모든 당원들 또 우리 당을 좋아하는 분들이 다 투표장에 열렬히 나가려면 2번을 안 단 안철수 후보는 제약이 있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현실적으로 볼 때 안 대표가 야권 단일 후보가 되더라도 국민의힘에 입당해 기호 2번으로 출마를 해야 승산이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안 후보는 여전히 기호 4번을 고수하고 있다.

 

안 후보는 이날 BBS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1번과 2번의 대결이 된다면 지금까지 서울에서 (기호 2번이) 7연패를 했다"라며 "그래서 계속 진 방법보다는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자고, 서로 실무선에서 협의하면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이번에 많은 분들이 이길 수 있는 후보가 누구일까 거기에만 관심이 있다"라며 "기호가 몇 번이어야 된다. 이런 요구를 하는 분은 제가 만나보지 못했다"라고 했다.

이어 "기호가 몇 번이 되든 야권 단일 후보는 두 번째 후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여권은 똘똘 뭉쳐 있고 야권은 전통적인 국민의힘 지지자, 반민주당·비국민의힘이 있다"라며 "이 두 분을 모두 다 지지를 결집을 해야지만 겨우 이길 수 있다"라고 했다. 기호 4번이어야 '비민주당, 비국민의힘' 입장의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주장이다.

 

한편 국민의힘 내부 일각에선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기호 2번도 4번도 아닌 무소속 후보가 바람직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19일 '배종호의 M파워피플 초대석'에 출연해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되면) 제3의 지대, 무소속으로 가서 출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했다.

 

박 의원은 "(안 대표가) 국민의당으로 출마하면 국민의힘 당원이나 많은 사람들이 100% 지지를 하겠느냐"라며 "이런 차원에서 여러 최선의 대안을 찾으려고 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