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자 79.1%, 코로나19로 긱잡 등 프리랜서 증가 전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여파로 개인의 능력에서 인공지능(AI)으로,  컨택트에서 언택트로 모든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빠른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정규직 프리랜서 근로 형태가 증가되는 경제 현상인 ‘긱 이코노미’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실제 20대와 30대 구직자 10명 중 6명 이상은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 프리랜서로 일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함께 2030 구직자 1,674명을 대상으로 ‘긱 이코노미 트렌드’에 대해 조사한 결과, 46.0%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고 20일 밝혔다. 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구직자는 14.3%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39.7%는 ‘잘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실제, 긱 이코노미 현상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복수응답) △’여러 일을 해볼 수 있는 N잡 트렌드 확산’이 응답률 53.2%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원하는 기간에 비교적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을 것 같아서(39.9%), △일자리가 늘어나서 취업시장의 일자리 부족 문제가 다소 해결될 것 같아서(30.4%)가 2,3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 △전공.특기를 살려 나에게 맞는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29.5%) △본업 외에 추가적인 수입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서(15.2%) △장소 제한 없이 집 등에서 편하게 근무를 하는 근로형태가 확산될 것 같아서(11.3%)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긱 이코노미 트렌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안정적인 고용형태가 아니라서’가 응답률 77.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더 많아질 것 같아서(50.6%) △정규직과 수입 차이가 많이 날 것 같아서(27.2%) 등의 응답도 있었다.

 

실제, 이번 잡코리아X알바몬 조사에 참여한 20.30대 구직자 64.4%는 반드시 정규직이 아니더라도, 비정규직 프리랜서로 일 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랜서로 근무 시 하고 싶은 일로는 △전공과는 관련 없는, 평소 관심이 있는 분야의 일을 하고 싶다는 경우가 52.6%였으며, △전공을 살려 일하고 싶다는 구직자는 46.6%였다.

 

이들이 비정규직 프리랜서로 일할 의향이 있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원하는 시간에만 근무하는 등 비교적 자유롭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아서가 응답률 5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향후 취업 또는 창업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26.6%) △전공 및 특기를 살릴 수 있는 일이라서(24.2%) △ 회사 조직 문화 등을 신경 쓰지 않아도 돼서(23.5%) △평소 해보고 싶었던 일이라서(18.9%) △높은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17.1%) △향후 프리랜서 근무가 보편적인 근로형태가 될 것 같아서(15.3%) 등의 의견이 있었다.

 

특히 2030 구직자 79.1%는 이번 코로나19로 인해서 긱잡 등 프리랜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으며, 반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는 구직자는 11.2%,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구직자는 9.7%에 불과했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최근 긱 이코노미는 온라인 공유경제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고용형태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플랫폼이 다양해 지면서 전문직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