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서울 지하철 3호선·8호선 5G 안 터져...LGU+ 최악”

김상희 국회부의장 “5G 요금 가입 시 가용률 고지해야”

 

지난 한 해 동안 누적 이용자 수 27억명을 기록한 서울지하철 일부 호선의 5G 가용률이 현저히 낮아 통신사의 품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G 가용률이란 실제 점검지역에서 5G를 원활하게 쓸 수 있는 신호 세기가 나오는 비율을 말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국회부의장)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아 19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지하철 3호선과 8호선의 5G 가용률은 각각 26.74%와 26.96%로, 전체 지하철 평균 가용률인 76.33%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지하철 3호선의 5G 가용률은 5G 커버리지 전체 점검 대상 호선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또 LGU+의 5G 가용률은 2호선 48.73%, 3호선 11.13%, 8호선 6.65%로 통신3사 중 가장 낮았다.

 

김 의원은 “국민의 발로 불리는 서울지하철에서 5G 가용률 편차가 상당히 큰데, 이는 5G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통신3사는 5G 요금제 가입을 안내하면서 이용자 가입 지역과 관련 대중교통에 대한 5G 가용률 및 커버리지 등을 약관으로 고지하여 5G 이용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통신사업법 제56조에 따르면 과기부 장관은 통신 품질을 개선하고 이용자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며 “과기부가 지하철 전체 호선이 아닌 일부만을 대상으로 5G 커버리지를 조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커버리지 점검 대상을 전체 호선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G 가용률 실태조사를 정례화하여 변화추이를 면밀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며 “통신사 스스로가 5G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궁극적으로는 5G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