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


[리얼미터] 종전선언 지속적 추진 동의 '동의' 49.0%·'비동의' 46.0%

진보, 보수 이념성향별로 응답 엇갈려…중도층은 '팽팽'
50대·60대, 종전선언 지속적 추진 의견 '동의' 우세

 

우리 정부의 북한, 미국 간 종전선언 추진에 대한 국민 동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두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9일 YTN '더뉴스' 의뢰로 종전선언 지속적 추진 동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동의' 응답이 49.0%(매우 동의함 32.8%, 대체로 동의함 16.2%), '동의하지 않음' 응답이 46.0%(전혀 동의하지 않음. 29.5%, 별로 동의하지 않음. 16.4%)로 집계됐다. '잘 모름'은 5.0%였다.

 

권역별로 보면 경기·인천(동의 48.3% vs. 동의하지 않음 44.5%)과 서울(50.7% vs. 45.0%), 부산·울산·경남(42.3% vs. 50.4%)에서는 동의 여부가 팽팽하게 갈렸다.

 

또 대전·세종·충청(57.7% vs. 38.8%)과 광주·전라(58.0% vs. 38.5%) 거주자 10명 중 6명 가까이는 종전선언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 응답이 많았다. 반면 대구·경북(32.9% vs. 65.8%)에서는 '비동의' 응답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동의 48.9% vs. 동의하지 않음. 47.5%)와 70세 이상(44.9% vs. 45.6%), 30대(48.0% vs. 52.0%), 20대(43.9% vs. 50.3%)에서는 두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50대(54.6% vs. 40.0%)와 60대(52.3% vs. 40.8%)에서는 '동의' 응답이 많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는 '동의' 66.8%, '비동의' 29.8%였고, 보수층은 '동의' 37.9%, '비동의' 55.1%로 서로 대비된 결과를 보였다. 중도층에서는 '동의' 46.6%, '비동의' 51.4%였다.

 

지지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84.6%가 '동의'라고 응답했고, '비동의'는 11.9%였다. 반대로 국민의힘 지지층의 21.4%는 '동의', 75.0%는 '비동의'라고 응답했다. 무당층은 '동의' 34.0%, '비동의' 54.7%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7,002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7.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분단·이산가족 80년 “생사 확인 위한 서신교환” 촉구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 확인을 위한 서신교환 실현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이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렸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이 함께했다. Peace Makers Korea 대표 김사랑 양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분단 80년 이산가족 80년,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면서 “가족의 얼굴을 보겠다고까지는 하지 않겠다. 가족의 목소리를 듣겠다고까지는 하지 않겠다. 그러나, 가족의 생사를 알기 위해 서신교환만이라도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인권이며 인간의 신성불가침한 권리로 중범죄로 종신형을 선고받은 수감자도 전쟁터의 사람들도 가족과는 소통을 한다”면서 “이산가족 누구나 편지로라도 소식을 전하며 생사확인이라도 할 수 있도록 모두가 서신교환 실현 서명에 함께 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랑하는 가족에게 단 한 통의 편지를 전할 수 있도록, 함께 도와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환갑이 넘어 탈북했다는 기자회견 참석자는 발언에서 “북한에 남기고 온 자식들과 배우자 그리고 손자, 손녀 13명의 가족들과 이산가족으로 생활하고 있다”면서 “아무 때나 국제여행을 할 수가 있으며 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