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구직자 69.2% “돈보다 워라밸!”


구직자 39.1%가 코로나19 이후 직장에 대한 가치관이 ‘달라졌다’고 밝혔다. 달라진 직장관 1위는 ‘경제적 보상보다는 워라밸이 더욱 중요하다(69.2%)’가 차지했다.

 

잡코리아가 최근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과 함께 신입직 및 경력직 구직자 1,27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직장관 변화’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잡코리아-알바몬 공동 설문조사 결과 구직자 5명 중 2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직장관에 변화를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구직자 39.1%가 ‘코로나19 이후 직장에 대한 기존의 신념, 가치관이 달라졌다’고 답했다. 반면 ‘별 변화나 영향이 없었다’는 응답은 34.8%로 이보다 낮았으며, 26.1%는 ‘기존의 직장관이 더 확고해졌다’고 답하기도 했다. 구직자들의 직장관에 대한 코로나의 영향력은 신입직 구직자에게 더 컸다. 경력직 구직자의 경우 ‘직장관이 달라졌다(34.9%)’는 응답보다 ‘별 영향이 없었다(42.5%)’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신입직은 ‘달라졌다(41.6%)’는 응답이 ‘별 영향이 없었다(30.0%)’보다 11%포인트 이상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직장관이 더 확고해졌다’는 응답 역시 경력직(22.6%) 보다 신입직 구직자(28.4%)에게서 더 높았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 구직자들이 가장 영향을 받은 직장관에는 무엇이 있을까? 잡코리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워라밸의 중요도’가 코로나 이후 가장 많이 달라진 직장관으로 조사됐다. 직장관에 변화를 겪었다고 답한 구직자 496명 중 69.2%가 ‘코로나 이후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나의 건강, 워라밸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신입직 구직자에게서 73.6%로 경력직 구직자의 60.6%보다 13%포인트나 높았다. 반면 ‘워라밸보다는 금전적인 보상이 더 중요하게 느껴진다’는 응답은 30.8%의 응답을 얻는 데 그쳤다.

 

직무와 연봉 중 더 우선하는 가치를 두고는 경력직과 신입직 구직자간의 가치관 차이가 두드러졌다. 먼저 경력직 구직자들은 “높은 연봉을 위해서라면 관심•희망직무도 포기할 수 있다”는 응답이 53.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신입직 구직자들은 “나의 관심•희망 직무를 위해서라면 높은 연봉도 포기할 수 있다”는 응답이 58.6%로 더 높아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선호가 더욱 두드러졌다.

 

평생 직장에 대한 질문에는 “꾸준히 오래 다닐 수 있는 안정적인 평생직장을 추구한다(경력직 58.8%, 신입직 52.5%)”는 응답이 54.6%로 “적절한 이직을 통해 몸값을 높여야 한다(45.4%)”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규직 취업과 빠른 취업(이직) 중 더 중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51.6%가 “꼭 정규직이 아니라 하더라도 당장 빨리 취업(이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구직자들이 직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로는 ‘워라밸’이 꼽혔다. 잡코리아-알바몬 설문결과 구직자 26.0%가 직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워라밸: 저녁이 있는 삶, 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가’를 꼽았다. 2위는 ‘경제적 보상(22.2%)’으로 ‘충분한 금전적 보상, 만족할만한 연봉이 주어지는가’가 차지했다. 또 ‘안정성: 꾸준히 오래도록 일할 수 있는 고용안정성이 보장되는가(13.3%)’가 3위를 차지한 데 이어 ‘일의 성취감: 일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가(8.9%)’, ‘능력발휘: 내가 가진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며 일할 수 있는가(7.3%)’가 각각 4, 5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고용 가능성(6.7%)’, ‘직무(5.8%)’, ‘전망 및 비전(5.6%)’, ‘사회적 인정(2.4%)’, ‘조직문화(1.2%)’ 등이 직장을 선택하는 주요 가치로 꼽혔다.

 

다만 잡코리아는 구직 유형에 따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에는 차이가 있었다고 밝혔다. 경력직 구직자들의 경우 ‘경제적 보상’을 꼽는 응답이 37.6%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워라밸(15.9%)’과 ‘안정성(11.2%)’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신입직 구직자들은 ‘워라밸’을 꼽는 응답이 31.3%로 가장 높았으며 ‘안정성(14.4%)’과 ‘경제적 보상(14.1%)’이 근소한 차이로 2, 3위를 다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장동 비리’ 유동규·김만배...1심서 징역 8년 법정 구속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된 민간업자들이 1심에서 중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조형우 부장판사)는 31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화천대유자산관리(이하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에게 각각 징역 8년을 선고했다. 특경법상 배임이 아닌 형법상의 업무상 배임이 인정됐다. 재판부는 아울러 김 씨에게는 4백28억 165만 원, 유 전 본부장에겐 8억 천만 원의 추징을 명령했다. 또 이들과 함께 활동한 남욱 변호사와 정영학 회계사, 정민용 변호사에게는 징역 4년과 5년, 6년 형을 각각 선고했다. 재판부는 “예상이익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확정이익을 정한 공모 과정을 그대로 체결해 공사로 하여금 정당한 이익을 취득하지 못하게 하고, 나머지 이익을 내정된 사업자들이 독식하게 하는 재산상 위험을 초래했다”며 “위험이 실제 현실화돼 지역주민이나 공공에 돌아갔어야 할 막대한 택지개발 이익이 민간업자들에게 배분됐다”고 했다. 한편, 민간업자들과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사업과 관련해 화천대유에 유리하도록 공모 지침서를 작성,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