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정치


홍준표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 황교안·나경원이 책임지는 모습 보여야"

"의원들 자발적으로 나섰다고 진술해 달라는 말 들었을 때 귀를 의심"
"모든 책임 지도부인 우리 두 사람에게 있다고 변론 해야 지도자 모습"

 

미래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 대표를 지낸 홍준표 무소속 의원이 지난해 국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당시 지도부와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재판을 받는 것과 관련해 황교안 전 대표와 나경원 전 원내대표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2회에 걸친 공판 준비절차에서 당을 대표한 두 분의 변호 내용은 기가 막힐 지경이다. 의원들이 자발적으로 나섰다고 진술해 달라는 말을 들었을 때 나는 내 귀를 의심했다"라고 했다.

 

홍 의원은 "그 당시 의원들은 공천권을 틀어쥔 지도부의 지휘를 거역할 수 있었겠느냐"라며 "그건 어이없는 무책임 변론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당선된 9명의 의원을 구하려면 모든 책임은 지도부인 우리 두 사람에게 있다. 의원들은 지휘에 따라준 잘못 밖에 없다. 의원들은 선처해 달라. 이렇게 변론을 해야지 지도자의 모습이지 나 살겠다고 의원들을 끌고 들어가는 모습은 그건 정말 아니다"라고 했다.

 

홍 의원은 또 "작년 11월 패스트트랙 사건으로 여야가 극한대치를 할 때 황교안 대표 단식장을 찾아가 민주당과 합의를 종용했다"라며 "공수처법은 정부조직법이고 우리가 집권할 때 폐지하면 되니 넘겨주고 기괴한 선거법은 막으라고 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홍 의원은 "그렇게 조언한 가장 큰 이유는 기히 고발된 국회의원들 보호 때문이었다"라며 "원인이 된 패스트트랙이 합의되면 고발 취소가 되고 검찰도 기소 명분이 없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홍 의원은 "그런데 둘 다 막는다고 큰소리치면서 심지어 의총장에서 나중에 법적 문제가 생기면 황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변호사이니 모든 것을 책임진다고 호언장담까지 했다"라며 "나아가 나경원 원내대표는 공천 가산점 운운까지 하면서 극한투쟁을 부추겼다"라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그 후 어떻게 되었나"라며 "두 법은 강행통과 되었고 공천 가산점은 주지 않고 많은 의원을 낙천시켰으며 그나마 재공천 되어 당선된 9명의 현역 의원들은 지금 사법절차의 족쇄를 찼다. 개헌저지선이 무너질 수도 있다"라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