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2.6℃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0.2℃
  • 맑음대구 3.4℃
  • 맑음울산 2.5℃
  • 맑음광주 5.0℃
  • 맑음부산 4.1℃
  • 구름많음고창 5.1℃
  • 흐림제주 9.7℃
  • 구름조금강화 -2.0℃
  • 맑음보은 -0.7℃
  • 맑음금산 1.5℃
  • 구름많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3.6℃
  • 맑음거제 5.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자 88% ‘자소서포비아’ 겪어

 

최근 서류전형 단계부터 직무적합성 평가를 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자소서 작성에 극심한 어려움을 느끼는 ‘자소서포비아’를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 구직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며 막막함을 느낀다고 토로했으며, 이들이 꼽은 가장 까다로운 자소서 문항은 지원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신입직 구직자 2,158명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 준비 현황’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중 88.1%가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를 작성할 때 막막하거나 한계를 느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구직자 49.7%는 지원하려는 기업의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부담감으로 입사지원을 포기했던 경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자소서포비아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을 적어야 하는지 막막하다’가 응답률 59.9%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좋을지 잘 모르겠다(47.8%) △쓸 만한 스토리가 없다(33.8%) △자소서로 사회경험이나 대학활동 등 그 동안의 나의 업적을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다(24.6%) △제한된 글자 수에 나를 표현하는 것이 힘들다(13.5%) △채용공고가 뜨고 나서 준비하다 보니 시간이 부족했다(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구직자들이 가장 까다로워 하는 자소서 항목(*복수응답) 1위로는 △지원동기를 묻는 문항(40.3%)에 이어 △직무/업무 역량을 묻는 문항(35.6%), △실패/난관극복/성취경험 문항(22.7%) △입사 후 포부 문항(16.9%) △해외경험/ 글로벌 역량 관련 문항(11.6%)이 5위권 안에 들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2명 중 1명은 자소서 작성 시 도움을 받는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자소서 작성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도움으로 △합격 자소서 참고 등 취업포털이 제공하는 취업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응답률 53.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취업 카페 등 커뮤니티 내 정보 활용(34.6%) △자소서 관련 강의 수강(23.3%) △향후 취업 희망 기업에서 근무 중인 선배(18.4%) 등에게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 열고 공모 수상작 공개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사무총장 최현승)은 27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2025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를 개최했다. ‘꿈을 키우다, 세종학당의 길’을 주제로 한 이번 교류회에는 국내에서 유학 중이거나 취업한 세종학당 수료생 54명과 이들을 후원하고 있는 기업, 대학 관계자 등 70명이 참석해 상호 교류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교류회에선 후원단체들에 대한 장학생들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서로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자리를 가졌다. 베트남 하노이1 세종학당을 수료하고 재단법인 한글누리 장학생으로 선발된 ‘팜 응옥 꾸잉 니(덕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등은 한국 유학 생활 경험과 각자의 꿈을 공유하기도 했다. ‘2025 세종학당 수료생 한국 생활 수기 영상 공모전’의 수상작들도 공개됐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K-대학생, K-직장인으로서의 고민, 성장, 도전에 관한 이야기가 담긴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세종학당 수료생들의 생생한 한국 생활기를 만나볼 수 있었다. 세종학당재단은 세종학당 출신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한글누리, KB국민카드, 한글과컴퓨터 등 후원단체와 함께 장학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