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5.2℃
  • 맑음강릉 8.7℃
  • 박무서울 9.1℃
  • 박무대전 7.8℃
  • 박무대구 8.0℃
  • 박무울산 9.9℃
  • 박무광주 10.0℃
  • 맑음부산 14.0℃
  • 구름많음고창 7.4℃
  • 구름조금제주 16.6℃
  • 구름많음강화 7.9℃
  • 구름많음보은 4.3℃
  • 맑음금산 3.8℃
  • 맑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6.6℃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구직자 88% ‘자소서포비아’ 겪어

 

최근 서류전형 단계부터 직무적합성 평가를 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자소서 작성에 극심한 어려움을 느끼는 ‘자소서포비아’를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 구직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며 막막함을 느낀다고 토로했으며, 이들이 꼽은 가장 까다로운 자소서 문항은 지원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신입직 구직자 2,158명을 대상으로 ‘자기소개서 준비 현황’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중 88.1%가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를 작성할 때 막막하거나 한계를 느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구직자 49.7%는 지원하려는 기업의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부담감으로 입사지원을 포기했던 경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자소서포비아를 느끼는 이유는 △’무엇을 적어야 하는지 막막하다’가 응답률 59.9%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좋을지 잘 모르겠다(47.8%) △쓸 만한 스토리가 없다(33.8%) △자소서로 사회경험이나 대학활동 등 그 동안의 나의 업적을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다(24.6%) △제한된 글자 수에 나를 표현하는 것이 힘들다(13.5%) △채용공고가 뜨고 나서 준비하다 보니 시간이 부족했다(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구직자들이 가장 까다로워 하는 자소서 항목(*복수응답) 1위로는 △지원동기를 묻는 문항(40.3%)에 이어 △직무/업무 역량을 묻는 문항(35.6%), △실패/난관극복/성취경험 문항(22.7%) △입사 후 포부 문항(16.9%) △해외경험/ 글로벌 역량 관련 문항(11.6%)이 5위권 안에 들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 2명 중 1명은 자소서 작성 시 도움을 받는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자소서 작성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도움으로 △합격 자소서 참고 등 취업포털이 제공하는 취업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응답률 53.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취업 카페 등 커뮤니티 내 정보 활용(34.6%) △자소서 관련 강의 수강(23.3%) △향후 취업 희망 기업에서 근무 중인 선배(18.4%) 등에게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