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제


한경연 “지난 10년간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中企 44.8%·대기업 28.4%”

 

지난 10년간 중소기업(300인 미만)의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이 대기업(300인 이상)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경제연구원은 고용노동부의 ‘기업체노동비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2018년 상용근로자(10인 이상 기업)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35.4%(383만6,000원 → 519만4,000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2008~2013년 중소기업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295만6,00원에서 427만9,000원으로 44.8% 인상됐고, 대기업은 491만8,000원에서 631만7,000원으로 28.4% 증가했다.

 

직접노동비용의 경우 중소기업은 48.5%(2008년 236만9,000원 → 2018년 351만7,000원), 대기업은 30.0%(2008년 378만3,000원 → 2018년 491만7,000원) 올랐고, 간접노동비용은 중소기업 29.8%(2008년 58만7,000원 → 2018년 76만2,000원),  대기업은 23.3%(2008년 113만5,000원 → 2018년 140만원) 인상됐다.

 

이처럼 노동비용이 증가한 데는 직접노동비용 중 ‘정액·초과급여’와 간접노동비용 중 ‘법정노동비용(4대 보험료율)’의 인상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직접노동비용이 38.1%(300만3,000원 → 414만6,000원) 증가할 때 ‘정액·초과급여’는 45.1%(233만2,000원 → 365만원)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53.4%(206만3,000원 → 316만5,000원) 증가했고, 대기업은 37.1%(266만3,000원 → 365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월평균 근로시간(소정+초과근로)은 7.5% 감소하며 대기업(-0.6%)보다 빨리 줄었지만, 중소기업의 ‘정액·초과급여’는 대기업보다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여금·성과급’은 중소기업, 대기업이 각각 15.0%(30만6,000원 → 35만2,000원), 13.1%(112만원 → 126만7,000원) 증가했다.

 

간접노동비용은 25.8%(83만3,000원 → 104만8,000원) 인상될 때 간접노동비용 중 ‘법정노동비용’은 40.2%(25만6,000원 → 35만9,000원) 올랐다.

 

중소기업은 46.0%(20만2,000원 → 35만9,000원), 대기업은 36.0%(32만2,000원 → 43만8,000원) 인상됐다.

 

간접노동비용의 다른 항목을 보면 근로자 1인당 ‘퇴직급여 등의 비용’은 중소기업이 33.8%(24만원 → 32만1,000원), 대기업 16.1%(50만9,000원 → 59만1,000원) 등 22.8%(2008년 36만원 → 2018년 44만2,000원) 증가했다.

 

‘법정 외 복지비’는 18.4%(18만5,000원 → 21만9,000원) 인상됐는데, 중소기업은 0.7%(13만6,000원 → 13만7,000원) 증가한 반면, 대기업은 31.1%(24만4,000원 → 32만원) 올랐다.

 

업종별로 2018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이 가장 많은 업종은 ▲전기·가스업(881만8,000원)으로, 전체 평균(521만1,000원)의 1.7배였다.

 

이어 ▲금융·보험(877만3,000원) ▲제조업(592만2,000원) 순이었다.

 

가장 적은 업종은 ▲사업시설관리(255만4,000원) ▲숙박·음식(335만3,000원), 부동산(381만2,000원) 등이었다.

 

노동비용이 가장 많은 업종과 적은 업종 간 차이는 2008년 494만2,000원(금융·보험 680만1,000원, 사업시설관리 185만9,000원)보다 132만2,000원 증가한 626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의 직접노동비용 중 ‘정액·초과급여’와 간접노동비용 중 4대 보험료 등을 포함한 ‘법정노동비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인건비를 높이는 요인이 됐다”며 “인건비 상승으로 최저임금 미만율이 2008년 10.8%에서 2018년 15.5%로 높아진 점, 저소득층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어 근로소득이 줄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결졍 시 기업들의 지불 능력, 생산성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KPGA노동조합 “직장 내 괴롭힘·보복성 징계, 조속한 해결 촉구”
손솔 진보당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동조합 KPGA지회는 15일 “한국프로골프협회 직장 내 괴롭힘 및 보복성 징계 조속한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손솔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동조합 KPGA 지회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말, 스포츠윤리센터에 KPGA 고위 임원의 직원을 향한 상습적인 폭언과 욕설, 각서 작성 강요, 노동조합 탈퇴를 종용 등의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한 신고가 접수됐다”고 전했다. 한편, 스포츠윤리센터는 신고 내용이 사실이라고 인정하고 가해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지만, KPGA는 가해자가 부당하게 받아낸 시말서를 근거로 최초 신고자에게 견책이라는 징계 처분을 했다. 이에 손솔 의원은 “법률상 보호 받아야 할 노동자의 권리가 조직 내 권력 앞에 무력하게 침해당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KPGA가 ‘스포츠 업계’는 폐쇄적이고 바뀌기 어려운 곳'이라는 편견을 깨고 안전한 일터를 위한 조직 문화를 선도하는 곳이 되길 바란다”며 사건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견책 처분 받은 최초 신고 피해직원인 이승환 씨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내부 신고 후 사건이 공론화되었고 지난 24년 12월 19일 J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