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따릉이’ 이용 늘수록 서울시 적자도 늘어

2015년 9월 도입 이후 4년간 이용 건수 3,000만건 육박
서울시 적자 2016년 28억원 → 2018년 78억원…3배 증가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 도입 이후 이용 건수가 크게 늘면서 서울시의 적자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따릉이 연도별 이용자 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 9월 도입된 ‘따릉이’는 도입 4년 만에 3,000만건에 육박할 정도로 매년 이용 건수가 크게 늘었고, 회원 가입 수 역시 약 160만명에 달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16년 5,600대로 운영되던 ‘따릉이’ 자전거 수를 2020년까지 4만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8월 기준 ‘따릉이’ 자전거 수는 총 2만5,000대다.

 

 

문제는 ‘따릉이’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서울시의 예산 투입액도 매년 증가해 사업 운영과 관련한 서울시의 적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2016년 운영비와 구축비를 포함해 약 65억원 규모였던 ‘따릉이’ 사업 예산은 2018년 271억워으로 약 3배 증가했고, 2020년까지 ‘따릉이’ 자전거 4만대 운영을 위해 추가로 도입되는 자전거와 단말기, 대여소 등을 포함하면 투입되는 예산은 더 늘어나게 된다.

 

자전거 구입 등 초기 구축비를 제외한 ‘따릉이’ 사업의 순수 운영비(인건비 및 유지보수비 등)와 ‘따릉이’ 요금수입을 대비한 ‘연도별 따릉이 적자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6년 약 28억원의 적자가 발생했고, 2018년에는 78억원, 2019년에는 8월 기준 52억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김 의원은 “대안적 교통수단,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많은 서울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따릉이’의 운용비용 문제를 단순히 수익성 측면만 따져서 접근할 수는 없겠지만, 현재와 같은 적자운영이 계속될 경우 결국 서울시민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따릉이’ 이용에 있어 서울시민의 편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나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현재 운영 중인 ‘따릉이’ 규모의 적정성을 제대로 따져보고, 부가적 수익원 발굴 및 운영비 절감 등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책위 “오송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2주기 전 해결해 달라”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