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0.0℃
  • 맑음서울 6.8℃
  • 구름조금대전 2.4℃
  • 맑음대구 2.7℃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3.7℃
  • 맑음부산 7.8℃
  • 맑음고창 0.9℃
  • 구름조금제주 10.8℃
  • 맑음강화 3.4℃
  • 맑음보은 1.0℃
  • 맑음금산 -0.9℃
  • 맑음강진군 1.6℃
  • 맑음경주시 0.9℃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메뉴

정치


홍준표, 나경원에 작심 쓴소리…"과오 인정하고 내려와야, 더이상 버티면 추해진다"

나경원 원내대표 향해 "황 대표 낙마 기다리며 직무대행이나 해 보려 자리 연연하나"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더이상 버티면 추해진다"며 원내 지도부의 사퇴를 촉구했다.

 

홍 전 대표는 전날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제 그만 그간의 과오를 인정하고 내려오는 것이 책임정치를 실현하고 야당을 살리는 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전 대표는 이날 작심한 듯 한국당 지도부를 향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홍 전 대표는 "참 하기 힘든 말을 오늘은 하지 않을 수 없어서 부득이하게 한다"라며 "정치 책임은 결과 책임이다. 그래서 나는 2011년 12월 나뿐만 아니라 우리 당과 아무런 관련 없던 최구식 의원 운전 비서가 나경원 서울시장 후보를 돕기 위해 한 디도스 파동 때 그 책임을 지고 당 대표를 사퇴했다"라고 했다.

 

이어 "문재인 지지율 80%에 남북정상회담 쇼로 지방선거에 졌을 때도 책임을 지고 당 대표를 사퇴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홍 전 대표는 나경원 원내대표를 향해  "원내대표가 되자마자 5당 회담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길을 열어줘 괴이한 선거제도가 도입될 수 있도록 오늘에 이르게 했고, 장외투쟁하다가 아무런 명분 없이 빈손으로 회군하여 맹탕 추경을 해 주면서 민주당에 협조했다"며 "여당이 쳐놓은 덫에 걸려 패스트트랙 전략실패로 국회의원 59명의 정치생명을 위태롭게 하고도 아무런 대책 없이 면피하기 급급하고, 국민적 분노에 쌓인 조국 청문회에서도 갈팡질팡, 오락가락하다가 조국을 임명하는데 정당성을 확보해 주는 맹탕 청문회까지 열어 주어 민주당에 협조했다"고 지적했다.

 

홍 전 대표는 "그러고도 아직도 미련이 남아 황 대표가 낙마하기 기다리며 직무대행이나 해 보려고 그 자리에 연연하는가"라며 "사실이 아니길 바라지만 아직도 구설수가 계속되고 있고, 아무런 실효성 없는 국조·특검까지 거론하면서 자리 보전하기에 급급하다"고 했다.

 

홍 전 대표는 조국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와 임명 과정에 대해서도 "비리 덩어리 조국 임명 하나 못 막으면서 국조·특검한다고 현혹하면 국민들이 믿는다고 생각하는가"라며 "이대로 가면 정기 국회도 말짱 慌(황)이 된다. 야당 원내대표는 자리에 연연 해서는 안된다. 더이상 참고 볼 수가 없어 충고한다"고 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