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주민참여로 만들어가는 ‘중구 교육혁신센터’

중구(구청장 서양호)는 동화동 공영주차장 상부에 중구 교육혁신센터를 내년 3월 개관한다고 30일 밝혔다.

 

센터 시설규모는 연면적 2,740㎡(약829평)에 지하2층 ~ 지상3층으로 현재 지하2층 골조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센터 내 공간 활용을 위해 중구는 지난 7월 20일 주민참여형 교육혁신센터 건립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중구청 7층 대강당에서 열린 설명회에서는 학생, 교사, 학부모를 포함한 관내 지역주민 100여명이 참석해 조별 원탁토론으로 공간별 용도 설정을 위해 열띤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지상층(1층~3층)은 중구진학상담센터, 청소년상담센터, 스터디 카페(독서실, 청소년카페) 및 센터사무공간으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이 중 중구진학상담센터는 현재 중구청 별관에서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으며 운영되고 있으며, 센터가 완공되면 이전할 예정으로 다양한 교육 시너지를 낼 것이다.

 

센터의 지하층(1층~2층)은 커뮤니티 공간과 문화예술체험공간 및 청소년 체육시설로 활용하는 안이 제안되었으며, 향후 이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교육혁신센터 인테리어 설계에 반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구는 공간설계를 시작으로 센터 운영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그룹인 교육혁신센터 공간기획단을 8월 9일까지 모집하고 있다.

 

공간기획단은 구에서 주관하는 공간기획 워크숍을 거쳐 센터의 비전 및 공간 이름 선정을 비롯해 공간 배치 및 구성 등의 전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중구 교육혁신센터는 동화동 공영주차장내 건립되는 복합시설 활용안을 두고 작년 8월 주민100인의 원탁토론회를 거쳐 교육인프라 부족 및 교육관련 전문센터의 부재로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탄생한 결과물로 앞으로 중구 교육혁신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동화동 공영주차장 조성사업은 기존 지상2층 공영주차장을 철거 후 지하에 다시 짓는 것으로 지하에는 차량 249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이, 지상에는 교육혁신센터와 녹지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서양호 중구청장은 "교육혁신센터 건립을 계기로 관내 중·고등학생 누구나가 누릴 수 있는 교육인프라를 확충하고 교육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로비로 역사 덮은 일본
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했는지 유네스코에서 따지려던 정부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갔다.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서 '잠정 의제'로 상정된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가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한국 측 대표는 일본의 미진한 조치에 대해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취지로 안건 제안 이유를 설명했지만 일본은 사안이 위원회보다는 양자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보이며 해당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고, 한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다. 투표는 21개 위원국 대상의 비밀투표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일본의 수정안이 과반수 찬성(찬성 7·반대 3·기권 8·무효 3)으로 채택됐다. 이에 따라 오는 16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회의 기간은 물론 향후 유네스코 차원에서 군함도 관련 사안을 제기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일본이 지난 2015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린 군함도는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이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