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년 사이 세대별 취업자 및 고용률을 살펴보면 20대는 2016년 고용률 58.3% 에서 2017년 57.8%로 0.5%p 감소한 반면, 50대 고용률은 2016년 74.4%에서 지난해 75.4%로 1%p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 고용률이 79.4%로 1위를 차지했고 다음은 ‘50대’(75.4%), ‘30대’(75.3%), ‘20대’(57.8%), ‘60대 이상’(39.9%)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연령대별 고용률은 50대(50-59세)는 75.5%로, 자녀 세대인 20대(20-29세) 고용률 57.1%보다 18.4%p 높았다. 전년 동월(2016년 12월)과 비교해도 ‘50대’와 ‘30대’는 고용률이 각각 1%p, 0.8%p증가했다.
40대는 변동이 없었지만 20대의 경우 오히려 0.8%p 감소해 청년층 인구수 감소 및 심화되는 구직난에 따른 고용 절벽이 뚜렷하게 보였다.
성별 고용률은 남성은 ‘40대’(92.1%), ‘30대’(90.4%), ‘50대’(87.8%), ‘20대’(55.9%) 등의 순이었으며, 사회초년생인 20대의 고용률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부모 세대인 50대와의 격차는 31.9%p였다.
여성도 고용률 또한 남성과 비슷해 ‘40대’가 66.3%로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20대’(58.4%)와의 차이도 7.9%p였다. 10대와 6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30대’ 여성이 62.3%로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낮았고 ‘20대’(63.6%), ‘50대’(64.2%), ‘40대’(67.4%)로 높아졌다. 결혼 후 출산 및 육아로 경력 단절을 겪는 여성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연간 성별 고용률은 남성이 71%로 여성(50.7%)보다 20.3%p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