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0 (월)

  • 맑음동두천 17.2℃
  • 맑음강릉 24.7℃
  • 맑음서울 20.0℃
  • 맑음대전 20.1℃
  • 맑음대구 19.1℃
  • 맑음울산 18.9℃
  • 맑음광주 19.5℃
  • 구름조금부산 19.9℃
  • 구름조금고창 18.5℃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강화 16.7℃
  • 맑음보은 17.6℃
  • 맑음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8.0℃
  • 맑음경주시 18.9℃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경제


벼룩시장부동산 “내 집 소유에 대한 인식, 20대 내 집 꼭 필요치 않아…60대 무리해도 집은 꼭 필요”

집에 대한 인식, 자산불리기의 ‘소유’개념 에서 삶의 터전인 ‘거주’ 개념으로 변화 중


20대부터 50대까지는 집을 소유해야 한다는 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60대 이상의 경우 무리를 해서라도 집을 소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문, 온라인, 모바일로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부동산(대표 최인녕, land.findall.co.kr)이 20대 이상 온라인회원 736명을 대상으로 ‘나의 집을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54.1%가 ‘상황이 되면 소유하면 좋지만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 중 69.2%는 ‘상황이 되면 소유하면 좋지만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으며7.7%는 ‘내 집을 꼭 소유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과반수 이상인 53.8%가 ‘나의 집은 무리를 해서라도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고 답해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특히 30대의 경우 ‘나의 집은 무리를 해서라도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는 답변이 40대(36.2%), 50대(43.3%)보다 높은 43.9%를 차지해 실수요 목적으로 내 집 마련을 하는 것은 물론 저금리를 이용해 수익성 부동산 투자에도 열중을 하는30대가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연령이 높아질수록 집 소유에 대한 인식이 높았던 예전과는 달리 40대 62.3%, 50대 50%가 ‘상황이 되면 소유하면 좋지만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고 각각 답해 내 집의 필요성은 알지만 소유를 위해 대출 등 지나친 무리는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내 집을 반드시 소유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의 29.5%가 ‘은퇴 후 편한 노후 생활을 위해’라고 답했다. 이어 ‘저금리시대, 치솟는 전셋값에 못 이겨서’(26.2%) ‘교육 및 생활 환경 등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21.3%), ‘월급으로는 살아갈 수 없으므로 재테크 수단으로 필요’(14.8%), ‘내 집을 가지는 것이 곧 성공하는 거라서’(8.2%)의 순이었다.

내 집을 반드시 소유하지 않아도 되는 가장 큰 이유로는 53%가 ‘대출 없이 집을 살 수 없는 상황이고 대출 이자는 분명이 부담이 되니깐’을 꼽았다. 다음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18.6%), ‘내 급여 상승폭이 부동산 상승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서’(16.4%), ‘다른 재테크를 하다 보니 집 소유에 대한 생각이 없어서’(6.6%), ‘지방이 아닌 수도권에 살고 싶어서’(5.5%)의 순으로 답했다.

내 집을 소유한다면 어떤 주택 형태를 원하냐는 질문에는 ‘아파트’가 45.4%가 가장 많았으며 내 집으로 선호하는 지역은 ‘서울 근처 수도권’이 29%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6대 광역시’(26.8%), ‘서울’(21.9%), ‘지방’(15.8%), ‘제주도 등 특정지역’(6.6%)이었다.

정말 원하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은 원금의 28%정도로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원금의 20~30% 정도’라고 답한 응답자가 47%였으며 ‘원금의 30~50% 정도’라고 답한 응답자도 27.3%에 달했다.

내 집 마련의 시기에 대해서는 50.8%가 ‘지금이 적기가 아니다’고 말했으며 ‘모르겠다’(29%), ‘지금이 적기이다’(20.2%)가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 집의 의미에 대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인 88%는 ‘먹고 자고 쉴 수 있는 나의 삶의 터전으로의 Home’이라고 답했으며 ‘재산으로서 사고 파는 개념의 House’라고 답한 응답자는 12%에 그쳤다. 과거에는 ‘내 집 마련=성공’의 공식이 생길 만큼 내 집 소유를 안정적인 자산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높았지만 저금리 시대에도 불구 최근 주택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로 집을 자산불리기의 개념 보다는 주거에 대한 개념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탈북민 단체 "7일 인천 강화도서 대북 전단 20만장 살포"
탈북민 단체 겨레얼통일연대가 지난 7일 밤 강화도에서 대 전단 20만 장을 살포했다고 일 다. 이 단체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전날 오후 9∼10시께 장세율 대표와 회원 13명이 대형 풍선 10개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비판하는 내용의 대북 전단 20만 장 등을 담아 북한 방향으로 날려 보냈다고 밝혔다. 대형풍선에는 초단파 라디오 100개와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미국 상·하원 의원들의 대북 방송 메시지 등이 수록된 USB 600개도 담았다고 덧붙였다. 장 대표는 "앞으로도 남풍이 불면 부는 대로 북한 주민들의 알 권리를 위한 탈북민들의 대북 전단 살포는 지속될 것"이라며 “다만 지역주민의 불안 심리 해소 등을 위해 앞으로 대북 풍선 살포가 저녁 시간대에 비공개로 진행될 것”이라고도 예고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살포에 대해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황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전단 등 살포 문제는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지난해 9월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를 고려해 접근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탈북민 단체들은 최근 잇따라 전단 살포에 나서고 있다. 지난 6일에는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경기도 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