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7.4℃
  • 맑음서울 17.0℃
  • 박무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6.6℃
  • 구름많음울산 19.0℃
  • 연무광주 19.1℃
  • 구름많음부산 20.4℃
  • 맑음고창 20.6℃
  • 구름많음제주 22.2℃
  • 맑음강화 16.8℃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6.0℃
  • 맑음강진군 20.6℃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오피니언


할 수 있는 일이 많은 즐거운 인생 – 프롤로그

  

대학 졸업 후 2년 동안 국회의원실 보좌진으로 일했다. 국회에서 일한다고 하면 '우와'라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이 다음에 정치하시려고요?”라는 질문도 많이 받았다. 그러나 많은 이들의 기대와 달리 정작 나는 이렇다 할 욕심도, 목표도 없었다. 국회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상황들이 내 눈을 거치면 그저 '배꼽 빠지게 웃긴 일'이 될 뿐, 그냥 대충 살다 죽겠거니, 하며 아무 생각이 없었다. 권력욕이나 야망은 남 얘기였다.

 

순전히 내 마음가짐의 문제였을 테지만 변명을 하자면 자극을 주는 사람이 없었다. 오며 가며 보는 사람이라곤 국회의원, 장관, 어디어디 기관장일 뿐이었으니 그 사람들이 나한테 영감을 줘봐야 얼마나 줬을까. 안 줬다. 또는 못 줬다. 나와는 처음부터 다른 출세한 사람이거나 '악수 못해 안달난 사람들‘일 뿐이었다. 다만 내가 모시는 의원이 잘 되는 게 내 나름의 자부심이었기에 최선을 다해 일했다. 그 이상은 없었다.

 

보좌진이라는 직업의 특성 상 나를 감추는 일에 익숙해진 나는 새로운 직장 ‘자유경제원’이 그야말로 새로웠다. “지금 세상은 튀지 않으면 개인도 죽고, 조직도 죽는다”며 “세상을 바꾸고 싶은 생각과 행동이 없으면, 자유원이 본인에게 맞지 않은 직종임을 잘 생각하기 바람”이라고 일침 하는 원장의 저돌적인 리더십은 세상은 물론이고 나의 마음을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아니, 움직였다.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한 시장경제 체제와 민주주의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이다. 이 지당하신 말씀을 부정하는 사람들, 혼자 부정하지 않고 다른 이를 선동하는 사람들, 그들로 인해 선동당한 사람들의 마음을 돌리고 싶다. 이렇다 할 욕심도, 목표도 없던 나에게 가슴 속의 뜨거운 무언가가 생긴 것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8년 미국에 파견된 제1세대 장교 이한림은 웨스트포인트라고 불리는 미육군사관학교(United State Military Academy)에서 경험한 새로운 세상을 이렇게 표현했다.

 

“국가와 명예를 중시하고 동시에 자신의 의무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하는 것은 만주국 사관학교나 일본 육군사관학교에서 배웠던, 개인의 생명을 조국에 헌신할 것을 강요하는 군국주의적 방식과 전혀 달라 놀랐으며 미육군사관학교를 모델로 한국의 육군사관학교를 발전시키기로 결심했다.” (출처: 편견에 도전하는 한국 현대사, 남정욱 저)

 

이한림에게 미육군사관학교가 있었다면 조우현에겐 자유경제원이 있다. 자유경제원은 자유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한 오해와 맞서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조직원 하나 하나가 자유원만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영역을 넓혀갈 것을 권장한다. 전에 몸담았던 조직에선 상상할 수 없는 풍경이다. 이 특별한 영역에 들어온 나는 의심의 여지없이 축복받은 사람이다.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졌다. SNS를 통한 전파, 토론회, 팟캐스트, 글쓰기, 강연 등 무궁무진하다. 올바른 사상을 내 능력껏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감사하다.

 

자유가 우리 사상의 보편적 사상이 되게 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2015년에도 계속될 예정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지막지하게 많다. 우리의 노력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 이 많은 이야기를 기록할 수 있도록 글 연재를 허락해준 M이코노미뉴스에 감사한다. M이코노미뉴스와 독자들 모두에게 복된 새해가 되길 희망한다. Happy New Year!

 

조우현 (자유경제원 연구원)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