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유방암-환경’ 관련성 연구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여성들의 유방암 발병률에 주변 유해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국가 차원의 연구가 진행된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하미나 단국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환자-대조군 연구''를 본격적으로 한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유방암은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 2010년 현재 인구 10만명 당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45.4명에 달한다.

국내 유방암은 1999년 이후 매년 6% 정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세다.

2012년도 OECD 건강 자료(Health Data)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7년간 한국의 유방암 환자 증가율은 90.7%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한 일본(30.6%)보다도 세 배가량 높다. 이 같은 상황이지만 급격한 유방암 증가 원인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의학계에서 유전적 요인에 대한 조사 등이 있긴 했지만 이 연구 결과만으로는 젊은 층에서도 늘고 있는 원인 등을 입증하기 힘들다는 게 과학원의 설명이다.

 기존의 유방암 발병 위험 요인은 가족력, 생식과 임신, 음주나 호르몬제 사용 같은 생활행태, 방사선 노출 등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과학원은 이 연구를 추진하기에 앞서 우리나라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각종 화학물질의 노출 증가와 우리나라 유방암 발생률 증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7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이 예비조사를 보면 유해환경이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거주지 환경, 청소용 세제나 매니큐어의 잦은 사용 등이 유방암 발생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과학원과 하 교수팀은 국립암센터에 내원한 여성 환자군과 대조군 등 모두 2500여명을 대상으로 오는 2015년까지 3년간 본격적인 연구를 시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직업, 거주지, 대기오염, 식품 용기 등 주요 노출경로에 대한 1:1 심층 설문조사와 과거병력, 호르몬 수치 등의 내용에 대한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 노출에 맞서 여성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