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수족구병 ‘주의보’ 손소독제 추가 지원

성남지역 953명 치료받아

성남시는 여름철 수족구병 유행에 따라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이 집단시설에 손소독제 300개를 추가 지원하는 등 위생관리에 나섰다. 증원구보건소에 따르면 성남지역 내에서 최근 합병증을 동반한 수족구병으로 사망사례는 없으나, 7월 26일 현재 953명이 치료를 받았다.

전국적으로는 2명이 사망하고, 60,039명이 치료를 받았다. 전년 대비 41.4%(24,863명)가 늘어난 수치이다. 

수족구병은 3~11세 어린이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입안의 물집과 손·발에 수포성 발진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감염된 사람의 침, 가래, 대변 등 분비물이 오염된 장난감, 수건 등에 의해 전파된다.

감기와 유사한 발열 증세가 보이다가 심한 경우, 무균성 수막염, 뇌염 등 신경계 합병증으로 나타난다.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는 증상(사지위약) 등을 보일 때는 수족구병을 의심하고 반드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중원구보건소 김정기 감염병관리팀장은 “수족구병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사전 예방이 최선”이라며 “손 씻기의 생활화, 장난감 소독 철저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선 지난 6월, 중원구보건소는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375명을 대상으로 손 씻기 교육을 하고, 212개의 손소독제를 어린이집 등에 지원했다.

김미진 기자 /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책위 “오송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2주기 전 해결해 달라”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