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1.6℃
  • 구름조금서울 6.9℃
  • 맑음대전 4.0℃
  • 구름조금대구 3.5℃
  • 맑음울산 6.5℃
  • 구름많음광주 5.5℃
  • 맑음부산 10.5℃
  • 구름많음고창 2.9℃
  • 맑음제주 8.7℃
  • 구름조금강화 5.4℃
  • 맑음보은 0.9℃
  • 맑음금산 0.6℃
  • 구름많음강진군 2.4℃
  • 맑음경주시 1.2℃
  • 구름조금거제 5.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뉴진스, 명예훼손 유튜버 찾으러 미국 연방법원에 신원공개 요청

걸그룹 ‘뉴진스(NewJeans)'가 자신들의 명예를 훼손한 유튜브 채널 계정 운영자의 신원을 공개해달라고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 요청했다.

 

10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Middle7'이라는 핸들명의 유튜브 채널 사용자가 1,300회 이상 조회된 수십 개의 동영상에서 뉴진스에 대한 명예훼손 발언을 유포했다고 밝혔다.

 

뉴진스의 변호사인 유진 김은 이 계정이 뉴질랜드인을 대상으로 뉴진스에 대한 욕설이나 조롱 행위를 했고, 심각한 명예훼손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법원에 낸 서류에서 적시했다.

 

뉴진스 측은 해당 유튜버를 서울 경찰서에 고소했지만, 해당 유튜브 계정이 익명이라 고소 절차를 진행하기 힘들어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에 유튜브 계정 정보를 요청하게 된 것이다.

 

다섯 명의 멤버로 구성된 뉴진스는 작년에 두 번째 앨범 ’Get Up’이 빌보드200 순위에서 26주 1위로 차트될 정도로 세계적 걸그룹으로 성장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의 스타들은 외모, 노래 실력, 사생활에 관한 수많은 혐오 댓글과 사이버 폭력에 오랫동안 노츨돼 피해를 입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네이버나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과 달리 유튜브, 인스타그램, X와 같은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츠들에 대해선 명예훼손을 가한 사용자를 쉽게 찾기 어려워 이번 뉴진스 사건처럼 가해자를 찾아내기 위해 외국법원을 통해 확인 할 수밖에 없었던 것,

 

뉴욕타임스는 특정 사이버 렉카(이슈나 사건이 생길 때마다 재빨리 짜깁기 한 영상을 만들어 조회수를 올리려는 일부 유튜버를 교통사고 현장에 누구보다 먼저 출동하는 견인차 렉카에 비유해 만들어진 용어) A와 법정 싸움을 벌이고 있는 그룹 '아이브' 장원영의 사례를 언급했다.

 

장원영의 법률 대리인인 정경석 변호사는 뉴욕타임스에 "제게 조언을 구하러 오는 명예훼손 피해자들 대부분은 유튜브 때문“이라고 말하며 ”이 플랫폼은 스타의 명예를 훼손하고 이익을 취하는 사용자를 근절하려는 당국의 사각지대"라고 지적했다.

 

정 변호사는 아이브 소속사 스타쉽 엔터테인먼트가 명예훼손, 모욕, 업무방해 혐의를 한 A의 유튜브 계정에 대한 정보제공 요청을 미국 캘리포니아 법원에 제기했고, 미국 법원로부터 해당 정보를 입수했다.

 

이 정보를 이용해 정 변호사는 한국에서 해당 유튜버 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지난해 12월 A에게 1억원을 손해배상하라고 판결했다. 하지만 해당 유튜버는 항소한 상태이다.

 

명예훼손을 전담하는 한 변호사는 “이번 판례는 그동안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유튜브를 상대로 한 고소가 가능할 수 있다는 선례를 남겼고, 사이버 렉카들이 무분별하게 활동하는 것을 위축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