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국민 10명 중 7명, 금고 이상 범죄 의사 면허 취소 '찬성'

전체 응답자 68.5% '찬성', '반대'는 26.0%
모든 권역·연령·이념층에서 '찬성' 우세

 

국회가 중범죄를 저지르고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의사의 면허를 취소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 정도는 여기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4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금고 이상 형을 받은 범죄 의사 면허 취소 찬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찬성한다'라는 응답이 68.5%(매우 찬성 50.1%, 어느 정도 찬성 18.4%)로 ‘반대한다’라는 응답 26.0%(매우 반대 12.1%, 어느 정도 반대 13.9%)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은 5.5%였다.

 

의료법 개정안을 찬성하는 의견은 모든 권역에서 우세했다. 특히 광주·전라(찬성 79.3% vs. 반대 15.8%) 거주자 10명 중 8명 정도가 '찬성한다'라고 응답하며 전체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전·세종·충청(77.5% vs. 17.8%)과 인천·경기(72.5% vs. 22.9%), 부산·울산·경남(64.4% vs. 27.7%), 서울(60.6% vs. 34.4%), 대구·경북(57.1% vs. 37.5%)에서도 찬성 비율이 더 높았다.

 

연령대별로 봐도 찬성이 우세하게 집계됐다. 40대에서는 '찬성' 85.6%, '반대' 11.7%였고, 50대 '찬성' 73.2%, '반대' 25.3%, 30대 '찬성' 71.4%, '반대' 25.3%, 20대 '찬성' 57.9%, '반대' 35.4%, 60대 '찬성' 55.6%, '반대' 39.1% 순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에서는 '찬성' 62.8%, '반대' 20.1%였다.

 

이념성향별로도 찬성 의견이 많았다지만, 그 비율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진보층의 87.9%가 '찬성', 8.3%가 반대 의견을 보였고, 중도층에서도 69.8%가 '찬성',  25.6%가 '반대'라고 답했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찬성과 '반대'가 각각 52.3%와 44.6%로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8,207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6.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고수익 알바 간다”던 10대, 항공사 직원 설득에 '캄보디아 행' 포기
‘고수익 아르바이트’ 제안을 받고 비상여권만 챙겨 캄보디아행 비행기에 오르려던 10대 청년이 항공사 직원의 세심한 판단으로 출국을 멈춘 일이 뒤늦게 알려졌다. 17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5시경 인천국제공항에서 프놈펜행 항공편 탑승을 준비하던 대학생 A(18)씨는 대한항공 수속팀 박진희 서비스매니저 등의 설득 끝에 귀가를 결정했다. 이는 경찰이 공항 출국장에 경찰관을 상주시키기 하루 전의 일이었다. 박 매니저는 A씨의 예약정보에서 중국번호(+86)가 포함된 연락처와 편도 항공권, 비상여권 소지 등 여러 점을 이상히 여겨 여행 목적을 확인했다. 당시 외교부는 프놈펜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한 상태로,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방문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었다. 부산 출신의 A씨는 “친구가 캄보디아로 놀러 오라고 했다”며 단기 방문을 주장했지만, 박 매니저가 “최근 사회적 이슈를 알고 있느냐”고 묻자 “엄마가 조심하라며 출국을 허락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항공 측이 왕복 항공권이 필요하다고 안내하자 A씨는 다시 표를 끊어 수속을 진행했으나, 결국 스스로 안내데스크를 찾아 112에 신고했다. 이후 출동한 경찰은 신변 보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