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6명 가까이 '의대 정원 확대' 찬성

'공공의료 인력 확충, 지역 의사 양성 등의 이유로 찬성' 응답 58.2%
'충분한 논의 부족, 의료계 경쟁 과열' 반대 응답이 24.0%

 

최근 정부가 지역 의료공백과 코로나 19와 같은 국가적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의대 입학 정원을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29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의대 정원 확대 찬반 공감도를 조사한 결과 '공공의료 인력 확충, 지역 의사 양성 등의 이유로 찬성한다'라는 응답이 58.2%로 절반 이상이었다.

 

반면 '충분한 논의 부족, 의료계 경쟁 과열 등의 이유로 반대한다'라는 응답이 24.0%로 집계됐다. '잘 모름'은 17.8%였다.

 

권역별로 보면 대부분 지역에서 확대 찬성 응답이 많았다. 특히 광주·전라에서 72.5%로 전체 평균 응답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과 경기·인천에도 '확대 찬성' 응답이 60%대였다.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에서도 50%대로 집계됐으며, 대전·세종·충청에서도 정원 확대를 찬성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잘 모름' 응답이 31.5%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도 '확대 찬성' 응답이 많았다. 40대에서 74.9%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71.5%, 20대 63.2%, 50대 52.6% 등이었다.

 

하지만 고연령층일수록 '잘 모름' 응답이 많았는데, 70세 이상에서는 41.7%로 전체 평균 응답보다 23.9%p 높았으며, 60대에서도 28.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82.1%, 중도층 56.7%가 '확대 찬성' 의견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수층에서는 '확대 찬성' 35.9%, '확대 반대' 44.2%로 두 응답이 비등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8,721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