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취준생 47% “NCS 기반 채용, 취업준비 부담 더 커져”

 

신입직 취업준비생 절반 이상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대비 취업 준비를 하고 있었지만, 취업준비생들은 NCS 기반 채용 확산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잡코리아는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신입직 취업준비생 1,265명을 대상으로 ‘NCS 대비 취업준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1.3%가 “NCS 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공계열별로 보면 ▲이공학계열이 57.7%로 가장 많았고, ▲경상계열(56.6%) ▲사회과학계열(54.4%) ▲인문계열(48.3%) ▲예체능계열(36.7%) 등 순이었다.

 

기업 형태별로는 ▲공기업(79.1%) ▲대기업(61.7%) ▲중소기업(30.4%) ▲외국계기업(28.1%)이었다.

 

직무 관련성이 높은 경력과 업무 역량 등을 위주로 평가가 이뤄질 경우 해당 분야의 스펙을 쌓기 위해 또다른 노력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실제로 취업준비생들은 이에 대해 ▲취업 준비의 부담이 더 커질 것 같다(47.1%) ▲현재와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다(28.1%) ▲공정한 채용문화가 확산될 것 같다(17.0%) ▲NCS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7.8%) 등 NCS 기반 채용 확산으로 인해 취업준비 부담이 더 커질 것을 우려했다.

 

관련해서 NCS 채용 과정에 있어 면접전형(45.5)을 가장 많이 걱정했다.

 

다음으로 ▲NCS 기반 필기전형(33.2%) ▲NCS 기반 서류전형(21.3%)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NCS 능력 중심 채용 도입이 향후 자신의 취업 경쟁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31.8%로 가장 많았고, ▲오히려 불리할 것 같다(26.2%) ▲잘 모르겠다(22.9%) ▲유리할 것 같다(19.1%) 등 순이었다.

 

한편, 취업준비생들은 ▲시중 교재를 활용해 독학으로 공부(45.8%)하거나 ▲인터넷 강의(40.4%)를 통해 주로 NCS를 대비했다.

 

이어 ▲NCS 홈페이지 자료 활용(16.8%) ▲학원 등 오프라인 강의 수강(12.5%) ▲취업포털 콘텐츠 활용(12.3%) ▲그룹스터디 참여(12.0%) ▲자격증 취득(9.2%) ▲관련 경험 쌓기(8.0%) ▲1:1 컨설팅(6.2%) 등의 방법으로 NCS를 준비했다.

 

NCS 채용 대비 취업준비생 중 NCS 시험 응시 경험자는 50.1%였다.

 

이들은 시험을 본 이후 ▲직무에 대한 문제가 출제됐으나 난이도가 너무 어려웠다(32.4%) ▲직무적합성을 평가하는 적절한 시험(30.2%) ▲직무와 관련이 없다고 예상되는 내용이 많았다(18.8%) ▲직무와 연관됐으나 너무 평이한 수준이라 변별력이 없어 보였다(16.0%) 등으로 평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주노총 카라지회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과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는 16일 “시민단체 해산 위기까지 몰아넣은 카라 전진경 대표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카라지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10일 열린 동물권행동 카라(이하 카라) 임시총회에서 카라 대의원 권은정 씨의 양심고백으로 전진경 대표의 충격적 비리행위가 밝혀졌다”면서 “전 대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대로 총회를 유도하기 위해 사전에 카라 대의원에게 개인 연락을 취해 지지 발언을 청탁하고 거짓 정보까지 유포하는 등 비리 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카라 이사진은 2014년 성악가 조수미 명예이사의 기부금 및 시민들의 후원금으로 마련한 카라 소유 마포구 건물(감정평가 41억)을 후원자들도 모르게 이사회 내부 결정만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전국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이하 카라지회)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이번 임시총회가 급히 개최됐다”며 “사단법인 카라의 주무관청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는 ‘법인 목적 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을 ‘기본재산’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기본재산 미등록 자산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변경 절차를 진행할 것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