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심장병어린이돕기 ‘2019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함성으로 가득 찬 의정부체육관

16회째, 연예인과 전 프로농구선수가 함께 하는 나눔 자선경기

 

심장병 어린이를 돕기 위한 ‘2019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자선경기가 ‘사단법인 한기범희망나눔’ 주최로 29일 오후 의정부체육관에서 열렸다.

 

16회째 이어지고 있는 한기범희망나눔의 ‘희망농구’ 이번 16회 경기는 연예인들과 전 프로농구선수들이 함께 팀을 이뤄 자선경기임에도 박진감 넘치게 펼쳐졌다. 1쿼터부터 4쿼터까지 4점차 이내의 점수차로 끝까지 손에 땀을 쥐게 했다. 최종 사랑팀 47점 대 희망팀 52점으로 희망팀의 승리로 자선경기가 마무리 됐다.

 

 

 

사랑팀 출전 선수로는 박재민, 서지석, 오승훈, 김영준, 베이식, 심지호, 상추, 쇼리와 정은순 전 여자프로농구선수가, 희망팀 출전 선수로는 권성민, 김산호, 김승현, 박광재, 송준근, 정범균, 여욱환, 김재욱이 참여하고, 한기범 전 국가대표선수와 강영숙, 천은숙 전 여자국가대표선수가 함께 했다.

 

‘2019 스타와 함께하는 희망농구’ 자선경기는 서울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학생 및 가족과, 지역아동센터 학생, 심장병환우와 가족들도 함께해 연예인과 스포츠 스타들의 재능나눔의 현장을 경험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나눔 문화에 대한 교육과 참여 기회도 제공했다.

 

 

이날 경기에는 2천여명의 관중이 찾았으며, 안병용 의정부시장, 홍문종 의원(우리공화당), 조재성 경기영상위원장도 참석해 뜻 깊은 행사에 그 의미를 더했다.

 

농구경기 외에도 야외에서는 파주낭만기타의 버스킹 공연이 진행됐고, 경기 중간중간 김빡, 인앤추, 홀릭스, 더스틴, 젤리걸, SA-치어리딩사관학교 엔젤킹이 공연을 펼쳐 열기를 더했다. 이날 행사는 탤런트 김덕현과 영화배우 임세랑, 전문MC 유창근의 사회로 진행됐다.

 

한편 한기범희망나눔의 설립과 동시에 시작한 ‘희망농구’ 자선농구경기는 1년에 두 번,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잠실 학생체육관)과 의정부체육관에서 치러지는 행사다. 연예인과 프로농구선수 등이 참여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행사를 통해 거둬들인 자선경기 수익금은 어린이 심장병 환우의 수술비와 다문화가정 및 농구꿈나무 지원을 위해 사용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 '유효기간 2년 연장' 법안 통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이 이번 달 말로 일몰되는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담아 대표 발의한 개정안이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 본회의에서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이 2년 더 늘어나면서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 공백 우려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행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은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고,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23 년 6 월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특법법의 유효기간은 2025년 5월 31일로, 이번 달이 지나면 만료되어 이후 발생하는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1일 기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된 자는 2만9,540명으로 3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지난 달에만 874건이 추가되는 등 여전히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사례가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와 구제 필요성은 지속되고 있어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을 늘리고 주거와 금융, 법적 절차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