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9.5℃
  • 맑음서울 10.2℃
  • 구름많음대전 8.8℃
  • 맑음대구 9.4℃
  • 맑음울산 10.8℃
  • 구름많음광주 11.9℃
  • 맑음부산 14.6℃
  • 구름많음고창 9.2℃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8.0℃
  • 구름조금보은 5.5℃
  • 구름많음금산 5.6℃
  • 구름많음강진군 10.1℃
  • 맑음경주시 7.8℃
  • 구름조금거제 11.7℃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대학생 38% “취업 사교육 경험”

취업 사교육 대학생, 3년 전 18.2%에서 20%p 증가
취업 사교육 비용, 연평균 223만원 → 205만원으로 감소

 

대학생 5명 중 2명은 취업을 위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국내 4년제 대학 3, 4학년 1,080명을 대상으로 ‘취업 사교육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8.2%가 “취업 사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최근 1년 내 취업 사교육을 받은 적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1년 동안 취업 사교육비로 지출한 금액은 평균 205만원이었다.

 

취업 사교육 경험자 비율은 남학생(36.1%)보다 여학생(39.9%)이 더 많았다.

 

전공 계열별로는 경상계열 대학생이 47.4%로 가장 많았고, ▲사회과학계열(44.5%) ▲인문계열(41.2%) ▲이공계열(33.8%) 순이었다.

 

취업 사교육을 받는 대학생은 예년에 비해 늘었다.

 

3년 전 동일한 조사에서 “취업 사교육을 받은 적 있다”고 답한 대학생은 18.2%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20%p 이상 증가했다.

 

반면, 취업 사교육 비용은 소폭 줄어, 3년 전에는 연평균 223만원으로 조사됐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8.1% 감소했다.

 

대학생들이 받는 취업 사교육 과목은 ▲전공분야 자격증 취득(49.4%)과 ▲자기소개서 첨삭 등 취업컨설팅(30.5%)이 주를 이뤘다.

 

이외에 ▲영어성적 취득(24.9%) ▲비전공분야 자격증 취득(23.5%) ▲컴퓨터 학원 수강(21.5%) 등이 있었다.

 

3년 전 조사에서는 ▲영어성적 취득(33.1%)이 가장 많았다.

 

“취업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한 대학생(61.8%)은 ‘경제적 여유가 없어 사교육비가 부담됐기 때문(64.5%)’에 취업 사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취업 사교육의 효과를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33.3%)’ 취업 사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변지성 팀장은 “직무 전문성이 높은 인재를 선호하는 채용 트렌드에 맞춰 직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공분야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전공학점 향상에 집중하는 대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