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직장인 10명 중 1명, 올해 짐 쌌다

  • 등록 2021.12.26 14:04:50
크게보기

퇴사자 가장 많았던 부서 ‘영업/영업관리’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0명 중 1명이 올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퇴사자는 ‘영업/영업관리’ 부서에서 많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직원 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 307개사를 대상으로 '2021년 직원 퇴사율 현황'을 조사해 그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잡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직원 퇴사율은 평균 11.2%다. 이는 지난해 동일 조사 결과인 14.9%에 비해 소폭 낮아진 수치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올해도 지속되자 중기 직장인들은 이직보다는 재직중인 기업에 머무르는 것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중소기업에서 퇴사자가 가장 많았던 부서는 어디일까. 해당 질문(*복수응답)에 인사/채용담당자들은 '영업/영업관리(40.2%)’에서 유독 퇴사자가 많았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생산/기술/현장직(31.7%) △마케팅/홍보(18.0%) △IT개발/운영(17.5%) △기획/전략(15.3%) 순이었다.

 

인사/채용담당자들이 파악한 직원 퇴사 사유는 '업무 스트레스'가 1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가 위에 꼽은 부서에서 퇴사자가 많았던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묻자(*복수응답), 인사/채용담당자들은 특정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때문을 응답률 51.9%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 외에도 인사/채용담당자들이 파악한 직원 퇴사 사유는 △야근, 특근 등 타 부서보다 높은 업무 강도(45.0%) △타 직무 보다 낮은 급여수준(28.0%) △경쟁사, 관계사 등 이직제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서/업무 특성(24.9%) △부서장/관리자의 리더십 부족, 관리소홀(17.5%) 등이 있었다.

 

퇴사자 발생 시,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퇴사자 면담을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면담 결과를 토대로 직원 근속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실행하는 곳은 25.1%에 그쳤다. 나머지 50.3%는 ‘방법을 마련하긴 하지만 경영 등의 이슈로 실행까지 이어지진 않는다’고 답했고, 24.6%의 기업은 아예 방법 마련조차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성민 기자 newsman4876@naver.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