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 '곡자' 발견

  • 등록 2019.06.05 12:59:32
크게보기

1863년 조선 철종대 수리 당시 넣은 것으로 추정

 

경기 안성 청룡사 대웅전(보물 제824호) 해체 보수 과정에서 목재 '곡자'가 나왔다고 문화재청이 5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곡자는 장변 43㎝, 단변 31.3㎝, 두께 2㎝ 내외로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안전한 장소 중 하나인 대웅전 뒤쪽 기둥 하부와 초석 사이에서 나왔다.

 

대웅전 상량문 기록 등을 토대로 볼 때 1863년(철종 14년) 대웅전 수리공사 당시 기둥의 해체보수 작업 과정에서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곡자는 'ㄱ'자 형태의 자로, 전통건축에 쓰인 목재와 석재 길이를 측정하거나, 집 전체의 크기와 비례, 치목(治木, 나무를 깎는 일)과 치석(治石, 돌 다듬는 일)에 필요한 기준선을 부여할 때 사용한다.

 

문화재청은 "곡자 주변에 습기 조절 등을 위한 건초류와 고운 황토 등이 함께 발견된 점으로 볼 때, 후대 사람들이 건물을 지을 때 사용된 치수 단위를 알 수 있도록 한 옛 목수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발견된 곡자는 단변을 10치로 나누어 세부 단위를 '一(일)'부터 '十(십)'까지 표기했다. 특히 '一(일)'에서 '三(삼)'까지는 다시 한 치당 10등분 해 측정의 정밀도를 높였다.

 

또 건물의 기본이 되는 길이 단위인 용척을 분석한 결과 한 자가 313㎜ 내외로, 대웅전의 용척과 정확히 일치했다.

 

문화재청은 "313㎜ 기준은 조선 세종대 도량형을 통일한 1446년에 따른 영조척과 거의 유사하다"며 "18세기 후대까지 사용된 기준이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곡자는 당대에 건물을 짓거나 수리할 때 사용한 척도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곡자는 현재 전문가들의 현황검토와 추가 훼손을 막기 위해 보존처리된 후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로 옮겨진 상태다.

 

한편 이번에 곡자가 발견된 안성 청룡사 대웅전은 주요 부재의 노후화로 인한 건물 전체 변형이 심해 지난 2016년 6월부터 해체보수가 진행되고 있다. 

문장원 기자 moon3346@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