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글로벌 주요 기업들과 함께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가져올 인사관리(HR)의 변화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현대차는 13일 UPS, 갭(GAP), 큐리그 닥터페퍼 등 글로벌 기업의 최고인사책임자(CHRO) 8명을 초청해 ‘로봇·AI 시대의 인사 전략’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대표 로봇 시연—이족보행 로봇 ‘아틀라스’, 사족보행 로봇 ‘스팟’, 물류 특화형 ‘스트레치’—을 직접 확인한 뒤, 각 로봇이 기업 환경에서 가져올 변화와 실용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현대차에 따르면 이들은 AI가 로봇에 융합되면서 단순 보조 수단을 넘어 사람과 함께 일하는 ‘디지털 파트너’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HR의 역할도 기술과 인력을 아우르는 방향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히 최고인사책임자들은 미래 HR 리더는 AI와 로봇 기술에 대한 통찰뿐 아니라, 조직 구조 설계와 전략 수립까지 주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기업들이 로봇 도입에 앞서 관련 데이터를 조기에 확보하고 기술의 조직 내 적용 방안을 미리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행사에서는 각 기업의 실제 AI 활용 사례도 공유됐다. UPS는 자사 고객 응대용 AI 콜센터 시스템을 소개하며 AI가 고객 경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
김혜인 현대차 HR본부장은 “AI·로봇 시대의 인사관리 방향성을 세계 주요 기업들과 함께 논의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현대차는 HR이 단순 인력 운영을 넘어 기업 전략을 이끄는 기능으로 진화하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레이첼 살라몬 보스턴다이내믹스 CHRO는 “혁신 기술을 활용해 조직 구성원에게 힘을 실어주는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