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지난해 가구당 평균 4천676만원 벌었다

  • 등록 2014.11.16 14:45:02
크게보기

지난해 가구당 평균소득이 467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4일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상황 등을 담은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가구의 평균 소득은 4676만원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했다. 이중 근로소득은 3026만원(64.7%), 사업소득은 1170만원(25.0%), 재산소득은 196만원(4.2%)이었으며, 전체 소득 중 5분위 소득점유율은 46.3%로 전년대비 0.2%p 감소했다. 공적 이전소득은 정부지원에 따라 1분위(245만원), 2분위(219만원), 3분위(220만원)에서 평균(210만원)보다 높았다.

 

가구당 소득은 1000만원 미만 12.8%, 1000~3000만원은 25.5%, 3000~5000만원은 25.6%, 5000~7000만원은 15.9%, 7000~1억원은 12.0%, 1억원 이상은 8.1%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10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인가구 46.7%, 조손가구 30.8%, 노인가구 59.6%, 장애인가구는 27.9%로 나타났다.

 

2013년 평균 소비지출은 2307만원으로 전년대비 0.2% 증가했으며, 평균 비소비지출은 844만원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했다. 이중 식료품 구입에 633만원(27.4%)을 지출해 교육비(334만원 14.5%), 주거비(303만원 13.1%)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로는 공적연금·사회보험료(274만원 32.5%), 세금(206만원 24.5%), 이자비용(183만원 21.6%) 등보다 많았다.

 

2013년 기준 빈곤율은 시장소득 기준 18.9%지만, 처분가능소득 기준은 16.4%로 나타나 정부 정책효과에 의해 2.5%p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수가 증가할수록 빈곤율은 감소(1인 가구, 51.8% 4인 이상 가구, 8.4%)했으며, 취업자수가 증가할수록 빈곤율은 감소(취업자 0인 가구, 71.5%) 취업자 3인 이상 가구, 3.4%)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층을 보면 아동연령층(18세 미만) 빈곤율은 11.8%, 근로연령층(18~65)11.8%, 은퇴연령층(66세 이상)49.7%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6.2세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61.3세로 나타났다. 또한 20143월말 현재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는 14.0%로 생활비 충당정도는 여유 있는 가구6.7%인 반면, ‘부족한 가구42.2%, ‘매우 부족한 가구20.9%였다.

 

20143월말 현재 가구의 평균 자산은 3336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1% 증가했으며, 금융자산(26.8%, 8931만원)보다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73.2%, 24433만원)이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대가,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 가구의 자산이 가장 많았다. 소득 5분위가구 자산은 전체의 45.3%, 순자산 5분위가구 자산은 전체의 58.9%를 차지했다. 가구 소득 증가 및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47.0%, ‘부동산 구입23.4%, ‘부채 상환23.4%순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53.3%), ‘주택관련’(17.6%), ‘부채상환’(9.2%) 순으로 나타났다.

 

부채는 20143월말 현재 가구당 평균 599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3% 증가했다. 부채는 금융부채(68.3%, 4095만원)가 임대보증금(31.7%, 1900만원)보다 많았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가 부채 역시 가장 많았다. 소득 5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46.5%, 순자산 5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47.0%를 점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1.8%로 전년에 비해 1.6%p 증가했으며,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가계부채를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가구는 6.9%로 전년에 비해 1.3%p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2.0%p 감소한 106.8%이며,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2.4%p 늘어난 21.5%였다.

 

김경한 기자 santa-07@nate.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