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새마을금고 절반 가까이가 금융당국이 정한 부실채권 관리기준을 초과했다는 최근 보도에 대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일시적인 악화"라고 설명했다.
새마을금고 측은 "자본잠식으로 보도된 새마을금고는 부동산·건설업 경기침체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 적극적인 건전성 관리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으로 인해 경영지표가 일시적으로 악화된 상태"이며, "이는 향후 대손충당금 환입·영업이익 증가 등에 따라 충분히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5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행정안전부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 가운데 623곳(49.2%)이 고정이하여신 비율 8%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중을 뜻하며, 8%를 넘으면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간주된다고 밝힌 바 있다.
그 이유로 일부 새마을금고가 자본잠식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2025년 6월 기준 전체 새마을금고의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순자본비율은 7.68%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새마을금고 감독기준(행안부 고시)에 따른 규제비율 4%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에 새마을금고는 "전반적으로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지급여력 및 위기대응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주장했다.
나아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행정안전부의 지도와 협력 하에 금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합병을 원만하고 차분하게 이행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전체 새마을금고의 경영합리화를 위한 합병을 적극 추진하여 고객 자산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인출사태가 있었던 2023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26개의 새마을금고에 대한 합병이 완료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고객의 예금 및 출자금은 금액과 관계없이 전액 새로운 우량금고로 안전하게 이전되었음을 강조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고객의 피해와 불편 없이 고객 자산을 안정적으로 보호한다는 가치를 가장 우선적으로 삼으며 질서있는 합병 업무를 추진 및 체질개선을 위한 경영혁신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건전한 지역금융협동조합으로서 역할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