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이달 중순경 발표할 조직개편안의 핵심은 에너지 정책 기능의 독립 또는 재편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던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32년 만에 본격 논의되면서, 1993년 상공부와 동력자원부를 통합한 뒤 에너지 정책 컨트롤타워가 최초로 분리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새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과 에너지 전환 성패를 좌우할 분기점으로 평가되며, 현재 두 가지 정책안이 거론되고 있다.
첫째는 환경부의 기후탄소정책실과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을 통합해 별도 부처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실을 환경부 산하로 이관해 ‘기후환경에너지부’로 확대 개편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부처 간 이해관계 충돌 우려가 제기된다. 산업부는 에너지 확대 정책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부 관계자들은 산업·통상 정책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강조하며, 분리에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최근 간담회에서 "에너지 정책은 산업, 통상과 떼려야 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정부 조직 개편이 늦어지면서, 에너지 공기업들의 정책 추진 동력이 떨어지는 동시에 인사 적체가 심화되고 있다. 지난 6월 산업부 2차관 임명 이후 에너지정책실장 자리는 두 달 넘게 공석이다.
전력거래소·한국에너지공단은 공모 절차를 마쳤으나 이사장 임명이 미뤄지고 있으며, 한전KPS와 한국가스기술공사 등도 제청 지연으로 임명이 미뤄지고 있다.
이는 전력·가스·재생에너지 등 핵심 정책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조직 개편 논의가 길어질수록 에너지 정책 본격 추진은 늦어진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