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국무총리가 4일 전날 광화문 광장에서 보수 정당과 시민단체 주최로 열린 집회와 관련해 "폭력을 포함한 불법은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엄정하게 조사하고 법에 따라 처리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태풍 미탁 피해 및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상황 점검회의'에서 "어제 서울 광화문에서 큰 집회가 있었다. 오늘 회의 의제와는 다르지만. 수십명이 폭력을 휘두르고 성추행과 문화재 훼손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집회와 시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합니다만, 폭력을 포함한 불법은 용납돼서는 안 된다"며 "어느 집회건 마찬가지다"라고 했다.
또 이 총리는 제18호 태풍 '미탁'으로 인한 피해와 관해선 "태풍 미탁이 엄청난 상처를 남기고 사라졌다. 특히, 인명피해가 참으로 많았다"며 "희생자분들께 명복을 빌면서 가족과 부상자들께도 위로를 드린다"고 했다.
이 총리는 "재산 피해는 아직 집계가 나오지 않을 만큼 많다. 인명피해에 대해서 신속하고 성의있게 지원해 주시기 바란다"며 "특히 유가족들께 소홀함이 없게 모셔 드렸으면 한다. 재산 피해는 조사를 서둘러서 그 결과에 따라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포함한 합당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확산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해선 이 총리는 "그동안에 긴가민가했었던 DMZ 멧돼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검출됐다"며 "북한이 지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사실을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처음으로 신고한 직후, 제가 주목했던 것 중에 하나가 DMZ의 멧돼지였다. 그동안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잔반은 금지하기로 했었는데, 이번에도 잔반 급여가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며 "중앙정부의 지침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다시 점검할 때가 됐다. 멧돼지 포획 또는 퇴치, 잔반 금지를 포함한 지침의 이행 여부는 물론, 다른 방역들도 빈틈없이 이뤄지도록 농식품부 등 관계부처, 그리고 현장의 지자체가 특별히 잘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이 총리는 "방역대책을 다시 다잡아야겠다"라며 "어제 세종에 와서 농식품부 장관과 파주․김포․연천에 대한 비상 대책을 논의했고, 그 결과는 어제 발표된 바 있다. 신속히 이행해달라. 그 이행 또한 신속하고 정교해야 효과가 있고, 국민들께서 동의를 해주실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