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근로자 평균연봉 3,475만원…대기업 대비 中企 연봉 2.0%p 개선

  • 등록 2018.11.18 11:08:02
크게보기

상위 10% 연봉 하한선 6,746만원…연봉 1억원 이상 44만명
대기업 정규직 평균연봉 6,460만원…전년比 0.9%↓
중소기업 3,595만원…전년比 2.9%↑

 

2017년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475만원, 상위 10%의 하한선에 있는 근로자의 연봉은 6,746만원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근로자 1,519만명의 원시자료를 분석한 ‘2017년 임금근로자 연봉 분석’에 따르면 총 근로자 중 상위 10%의 연봉은 6,746만원 이상, 상위 20%는 4,901만원 이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위 30%는 3,900만원 이상, 상위 40%는 3,236만원 이상, 상위 50%는 2,720만원 이상이었다.

 

또한 2016~2017년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2016년 3,400만원에서 2017년 3,475만원으로 75만원(2.2%) 올랐다.

 

같은 기간 연봉 분위별 평균연봉 증가율은 2분위 5.3%, 3분위 5.0%, 4분위 3.6% 순으로 연봉이 낮은 집단에서 임금상승률이 높았다.

 

연봉 최상위 집단의 증가율은 10분위 1.4%, 9분위 2.1%, 8분위 2.6%로 임금 상승률이 낮았다. 다만, 연봉이 가장 낮은 집단인 1분위 근로자의 임금변동은 없었다.

 

중위연봉은 2016년 2,640만원에서 2017년 2,720만원으로 80만원(3.0%) 올랐다.

 

지난해 연봉 분위별 평균연봉은 ▲10분위 9,620만원 ▲9분위 5,714만원 ▲8분위 4,365만원 ▲7분위 3,549만원 ▲6분위 2,967만원 ▲5분위 2,507만원 ▲4분위 2,140만원 ▲3분위 1,801만원 ▲2분위 1,416만원 ▲1분위 656만원이었다.

 

2017년 기업규모별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대기업 정규직 6,460만원, 중소기업 정규직 3,595만원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60만원 감소(△0.9%)한 반면, 중소기업 정규직의 평균연봉은 102만원(2.9%) 올랐다.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임금 대비 중소기업 정규직의 평균임금 비율은 2016년 53.6%에서 2017년 55.6%로 알라, 대·중소기업 정규직 임금 격차가 2.0%p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연봉금액별 근로자 수 분포는 ▲연봉 1억원 이상 44만명(2.9%) ▲8,000만~1억원 미만 51만명(3.4%) ▲6,000만~8,000만원 미만 108만명(7.1%) ▲4,000만~6,000만원 미만 234만명(15.4%) ▲2,000만~4,000만원 미만 611만명(40.2%) ▲2,000만원 미만 472만명(31.0%)으로 분석됐다.

 

연봉 2,000만원 미만 근로자 수는 2016년만 33.2%에서 2017년 31.0%로 2.2%p 감소한 반면, 2,000만원 이상에 해당되는 모든 구간은 늘었다.

 

구간별로 ▲2,000만~4,000만원 미만 0.9%p ▲4,000만~6,000만원 미만 0.7%p ▲8,000만~1억원 미만 0.3%p ▲1억원 이상 0.2%p 순으로 증가해 연벙 상위 구간일수록 근로자 수 비중의 증가폭이 작았다.

 

추경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리스크와 조선,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등의 대내외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평균연봉은 전년대비 2.2% 상승했다”며 “특히, 소득수준 하위집단인 2, 3분위 근로자 연봉이 5.0~5.3% 오르고, 중소기업 정규직 연봉이 2.9% 상승한 반면, 대기업 정규직 연봉은 0.9% 감소하면서 대·중소기업간 임금 격차가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김선재 기자 seoyun100@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