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유통사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인수·합병(M&A)을 통한 새로운 주인 찾기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지난 24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홈플러스의 청산이 단순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국가 농산물 유통망 붕괴의 신호"라며 정부와 농협 등의 대응을 촉구했다.
이날 국감에서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는 가락시장 거래액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연간 1조8800억 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고 있으며, 전국에 있는 약 5만 여의 농가가 납품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농협과 홈플러스 간 거래액만 4072억 원에 달해 농협유통의 연간 적자인 500억∼600억원보다 훨씬 큰 실익이 있다”면서 “농협이 단순히 인수 여력 부족을 이유로 손을 놓는 것은 현황 파악이 부족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또 “농협의 유통망은 대도시 점유율이 13%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한 뒤 “홈플러스 인수는 농민 판로 확대와 도시 소비자에게 신선 농산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단순한 금융 논리보다 농협 본연의 취지를 살린 경제·유통사업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국감에 출석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이 연간 400억원씩 800억원 적자가 나고 직원 200명 이상을 구조조정했다. 여러 문의가 오고 여러 이야기가 거론됐지만 농협 내에서 직접 거론한 적은 없다"며 "홈플러스의 어려움을 잘 알지만, 농협의 어려움도 있다. (그러나) 한 번 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지난 14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증인으로 출석한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를 향해 "대주주인 MBK가 홈플러스의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다"며 질타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도심권 점유율이 낮은 농협하나로마트와 전국 120개 도심에 대형 점포를 보유하고 있는 홈플러스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있다.
농협의 농산물과 홈플러스의 물류를 결합해 '국가형 상생 구조조정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홈플러스는 최근 우선협상 대상자를 먼저 찾는 '스토킹 호스' 방식을 포기하고 공개경쟁 입찰로 전환했다.
홈플러스는 오는 31일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신청받을 계획이다. 본임찰 마감은 내달 26일로 앞으로 한 달이 홈플러스 M&A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