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무색해진 ‘IT강국’과 ‘디지털행정’

  • 등록 2025.09.30 08:23:40
크게보기

정부 시스템 전면 마비...국민 일상·민원 서비스 직격탄 맞아
재난복구 전담 ‘공주센터’ 개청 지연, 재해복구 체계 허점 드러나

 

국가정보자원관리원(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NIRS) 화재로 인한 여파가 아직 가시지 않고 있다. 모든 정부 시스템이 일제히 마비되면서 국민 일상이 멈춰버렸다.


국정자원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과 통신망 등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효율적인 통합과 구축을 관리하며, 보안 등 정보보호 등을 관장하는 행정안전부 소속 기관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은 범정부적 전산환경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2005년 11월에 ‘정부통합전산센터’라는 명칭으로 개정됐다.


국정자원의 핵심 서비스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통합 데이터센터 운영(호스팅·인프라 관리)’이다. 중앙부처의 다수 업무시스템을 안전하게 운영·유지하고, 장비와 전력, 환경 등을 24시간 365일 관리한다. 특히 ‘통합’이라는 명칭이 붙은 만큼 정부가 관리하는 수많은 정보자원을 통합 운영한다.


두 번째는 ‘G-클라우드(IaaS, PaaS 등) 제공이다. 정부 전용 클라우드인 G-클라우드를 통해 정부부처가 신속하게 자원을 할당·확장하고, 신기술 적용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세 번째는 ’보안관제·장애 예방‘이다. 전자정부 서비스의 실시간 연속성을 위해 통합 보안관제와 장애 예방 기술을 적용, 운영했다. 행정안전부는 총 1400여개의 업무시스템에 대한 장애 예방과 사전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네 번째는 ’표준화·상호운영성 확립‘이다. 정보자원의 표준과 지침을 정하고 상호운용성 기준을 마련·적용해 부처 간 시스템을 연결하고 재사용하는 선순환 기반을 만든다. 또 다섯 번째는 ’재해 복구(DR)·백업 및 이중화‘다. 각종 재난·재해복구(Disaster Recovery)에 대비한 백업센터 및 이중화 체계를 갖춰 서비스 중단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국정자원 전국 센터 및 현황은


국정자원은 2005년 대전 유성구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이 개청됐다. 국정자원 본원은 정부 전산자원 통합 관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이는 전자정부의 기반 시설을 통합하고 표준화하며, 클라우드화를 통해 안정성·보안성·확장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대전 본원에서 관리하는 정부부처 데이터는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국세청, 경찰청 등 대국민 서비스 중심 부처다. 특히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대국민 서비스를 맡아서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 2007년에는 광주 서구에 국정자원 광주센터가 개청했다. 광주센터는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등 일부 부처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백업하며, 재해복구용 시스템을 운영한다. 광주센터는 대전 본원의 백업센터 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구 동구에 국정자원 대구센터가 문을 열었다. 대구센터는 G-클라우드 전용 데이터센터로 최신 인프라를 적용해 구축되어 있다. 대구센터에는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경제·산업 부처의 데이터를 보관·운용 중이다. 대구센터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으로 운영하며, G-클라우드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네 번째 국정자원 센터인 공주센터는 2023년에 센터 건물 신축을 마쳤지만 아직 개청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센터는 대전·대구·광주 등 기존 3개 센터의 이중화 구조를 보완하고, 국가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복구 능력 강화가 주된 역할로 주어졌다.

 

하지만 기존에 개청 예정이 지난해 11월이었지만, 올해 5월을 기준으로 신축 공사가 67%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주센터는 다른 센터에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백업 시스템인 ’DR시스템 운영‘, 물리적·논리적 보안 강화에 바탕을 둔 고도화된 보안 인프라,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설계되어 ’에너지 효율 설계‘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2008년부터 시작된 공사는 사업자 선정 유찰, 예산 문제 등으로 지연됐다.


공주센터는 지하 915m 터널에 EMP·지진·폭격 대비 시설을 구축했으며, 대전센터 및 광주·대구센터가 동시에 마비될 경우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현재는 데이터 백업만 가능하며, 운영 시스템 백업 기능은 미구축 상태다.


또 다른 센터에서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백업 시스템인 DR시스템 운영에도 차질이 생겨 아직 개청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주센터는 물리적인 공사 이외에 시스템 구축까지 포함한 전체 공정률로는 올해 4월을 기준으로 66.9%에 그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전산망 안정성 확보, 근본 해결책 찾아야


이번 사건은 지난 2023년 11월 발생한 행정전산망 장애 사건 이후 2년도 채 안된 시점에서 발생했다. 특히 행정전산망 장애를 예방하고 장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체계적인 복구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정부법’ 개정안까지 발의됐지만 이번 사고로 무용지물이었음을 알게 됐다.


앞서 2023년 11월 17일 국가 행정전산망이 원인불명으로 먹통이 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이후 닷새만인 22일에는 주민등록증시스템이, 23일에는 나라장터 국가종합전자조달에서 접속 장애가 일어났다. 24일에는 모바일 신분증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멈추기까지 했다.


2023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부는 “디지털 행정서비스는 국민의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재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행정안전부 시스템 장애로 많은 국민들이 불편을 겪은데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 안정성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화재의 직접적인 피해가 없는 551개의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정상화될 것이라고 안내했다. 하지만 정부24, 우편, 주민센터 등 국민 일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핵심 서비스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민원 서비스가 차질 없이 제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사고는 또 일주일 넘게 이어지는 긴 한가위 연휴를 앞두고 벌어져 교통, 금융, 항공, 숙박 등 여러 분야에서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명 기자 paulkim@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